조경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29일 당 혁신위원회가 ‘권역별 소선거구제-비례대표 연동제’ 도입을 전제로 의원정수를 369명으로 늘리는 안을 제시한 것과 관련, “시대정신에 반하는 발상”이라며 “국민대표로서 제 구실을 못하는 비례대표제를 폐지하라”고 주장했다.조 의원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회의원 정수를 줄이기는커녕 정수를 늘리자는 혁신위의 주장은 민심을 거스르는 무책임한 행위”라며 이같이 말했다.그는 “지금까지 혁신위는 국민의 뜻에 반하는 국회의원 숫자 늘리기, 당내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최고위원회 폐지 등 논란거리만 제공하고 있다”면서 “당 대표의 거취문제와 패권세력 청산 등 국민들과 당원들이 바라는 진정한 혁신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혁신위가 과연 필요한지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그러면서 조 의원은 비례대표제 폐지를 주장했다.그는 “당초 비례대표제는 국민의 의사를 의석에 반영하고 국회의원의 전문성을 높이자는 취지로 생겨난 제도”라며 “그러나 비례대표제의 취지는 사라지고 돈으로 국회의원을 사는 제도라는 비판과 함께 계파정치, 줄세우기 정치의 온상으로 전락했다”고 지적했다.그는 “그간 비례대표제는 한국 정치사에서 공천장사, 계파정치의 수단이자 도구로 활용돼 온 것이 사실이다. 공천헌금을 내고 비례대표에 당선된 후보들이 국회에 입성한 사례들은 일일이 다 거론하기 어려울 정도”라며 “비례대표 의원들은 자신에게 비례대표직을 준 당 지도부와 공천권을 행사한 의원들에게 소신있는 정치행위와 발언을 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19대국회에 입성한 새정치연합 비례대표 의원 70% 이상이 지역구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데 대해 “지금의 비례대표는 지역구 출마의 발판으로 악용되고 있는 등 비례대표 고유의 의미가 퇴색된 지 오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이어 “공정하고 투명한 공천제도 확립과 정치에 대한 국민의 신뢰 회복이 이뤄지기 전까지 비례대표를 포함한 의원정수 늘리기는 국민정서에 이반되는 행위”라며 “여야에 비례대표제 폐지와 국회의원 정수를 줄여야 한다는데 동의해 줄 것을 강력하게 요청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