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층에서도 빈부격차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빈곤노년층이 전체 고령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가운데 고소득노년층의 월평균 경상소득이 9배 이상 많은 것으로 밝혀져 노후불안의 심각성을 말해주고 있다.9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부유한 노년층과 푸피족’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고소득 노인가구와 저소득 노인가구간의 월평균 경상 소득 격차는 2006년 8.8배에서 2014년 9.2배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 노인가구는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노인으로 중위 소득 150% 이상인 65세 이상 가구주를, 저소득 노인가구는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노인으로 중위 소득 50% 미만인 65세 이상 가구주를 의미한다. 통계청의 ‘2006-2014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푸피족과 우피족을 추정한 결과, 빈곤노인가구는 지난해 200만 가구로 전체 고령층(371만 가구)의 54.0%에 달했다. 부유노인가구는 6.2%인 23만 가구로 파악됐다. 최근 푸피족과 우피족의 경상 소득, 근로 소득, 사업 소득 등 전반적인 소득 격차는 점점 확대되는 양상이다. 빈곤노인가구의 월평균 경상소득은 2006년 51만원에서 2014년 63만원으로 2.7% 증가했으나 부유노인가구는 같은 기간 소득이 448만원에서 580만원으로 3.3% 늘었다. 국가에서 주는 공적 연금, 기초노령연금, 기초생활보장급여 등을 뜻하는 공적 이전 소득을 제외하면 푸피족의 소득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를 얘기하면서 대다수 노인들의 삶이 이렇듯 피폐해지고 있다니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다.공적 이전 소득을 제외한 빈곤노인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006년 39만원에서 2014년 33만원으로 연평균 2.1% 줄었고 부유노인가구는 379만원에서 442만원으로 연평균 1.9% 증가해 둘 간의 격차는 2006년 9.7배에서 지난해 13.4배로 커졌다. 가계수지도 빈곤노인가구의 경우 2006년 16만원 적자에서 지난해 19만원 적자로 적자폭이 늘었으나 부유노인가구는 2006년 38만원 흑자에서 115만원 흑자로 증가했다.빈곤노인가구의 증가는 장래적으로 정부재정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소득여건 개선을 위해 공공근로사업 확대 등 정부차원에서 다양한 일자리를 지원해야 한다. 저소득 고령자영업자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고령층의 안정적인 노후보장을 위해 연금제도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