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오전 7시30분경 경기도 파주시 비무장지대(DMZ)를 수색하던 우리 수색대원 8명 중 군 부사관 2명이 중상을 입었다는 군 당국의 10일 발표는 매우 충격적이다. DMZ는 1953년 정전협정이 체결되면서 군사적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MDL의 남측과 북측 지역에 각각 2㎞씩을 설정해 그 안에서는 군대 주둔과 무기나 군사시설의 설치를 금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도 북한군이 남측 지역에 지뢰를 설치해 우리 군을 공격하는 천인공노할 만행을 저질렀다.지뢰폭발로 하모(21) 하사가 두 다리를 잘렸고 하 하사를 후송하려던 김모(23) 하사는 오른쪽 발목을 잃었다. 우리 군은 상황이 일어나자마자 적의 공격을 받고 있다는 아주 심각한 전투현장에서도 우리 수석대원 모두가 개인의 안위를 돌보지 않고 포복으로 철수하면서까지 전우를 구출하기 위해서 필사적으로 노력했다. 이런 노력으로 비록 2명의 전우가 심각한 부상을 입었지만 생명을 보존할 수가 있었다. 군 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 북한군은 MDL 남측 440m 지점의 철책 출입구인 통문 북쪽에 목함지뢰 2발, 남쪽에 1발을 매설하고 돌아갔으며 우리 수색병력이 통문을 지나던 중 매설된 지뢰를 밟았다고 한다. 합참은 대북 경고성명을 통해 “북한이 이번 도발에 대해 사과하고 책임자를 처벌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히고 “도발에 상응하는 혹독한 대가를 치르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말만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군은 반드시 모든 방법을 동원해 상응하는 응징을 함으로써 엄포가 아님을 입증해야 한다. 명백한 정전협정 위반인 만큼 국제적인 제재도 필요하다.우리 군의 대북경계태세에 문제가 없었는지 반성해야 한다. 2012년에는 북한군 병사가 우리 일반전초(GOP) 창문을 두드렸던 ‘노크 귀순’, 불과 두 달 전에는 경계소초(GP) 도착 다음날 발견되는 ‘대기 귀순’도 있었다. 그때마다 DMZ 경계강화 조치가 취해졌지만 이번에는 더 충격적인 일을 당했다. 북한군은 지난해 말부터 MDL 주변을 떼 지어 몰려다니다가 분계선 남측까지 내려오는 등 이상행동을 보였는데 저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던 탓으로 이런 참사를 당한 것이다. 특히 북한이 작년 말부터 DMZ 내에서 지뢰를 매설하는 징후를 포착했는데도 이에 대비하지 않았다고 하니 기강이 너무 해이하다. 엄중한 문책과 경계태세 강화가 뒤따라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