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광복 70주년을 맞은 15일 “우리는 6만여명의 남한 이산가족 명단을 북한 측에 일괄 전달할 것”이라며 연내 이산가족 명단의 상호교환을 촉구했다.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0주년 광복절 기념식 경축사에서 “이산가족 문제만큼은 아무리 정세가 어렵고 이념이 대립한다고 해도 인도적 견지에서 남북이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박 대통령은 “북한도 이에 동참해 남북 이산가족 명단교환을 연내에 실현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나아가 남북 이산가족들이 금강산 면회소를 이용해 수시로 만남을 가질 수 있도록 북한의 협력을 촉구한다”고 말했다.박 대통령은 또 “한반도의 자연재해와 안전문제도 함께 대응해 나가자”며 “홍수나 가뭄, 전염병 등의 반복되는 문제에 일회적 상황관리로 대응하기보다는 남북간 보건 의료와 안전협력체계를 구축해 근본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것이 민족의 장래를 위해 보다 나은 길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비무장지대(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 제안과 관련해서는 “이제 남북이 함께 첫 삽을 뜨는 일만 남았다”면서 “DMZ에 세계생태평화공원을 조성하고 남북간 끊어진 철도와 도로를 연결하면 한반도 백두대간은 평화통일을 촉진하고 유라시아 차원 협력을 실현하는 새로운 축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아울러 박 대통령은 “남북간 장벽에도 불구하고 현재 진행 중인 역사유적 발굴조사와 겨레말 큰 사전 편찬 사업과 같은 학술 문화 교류, 축구와 태권도를 비롯한 체육교류는 중단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나갈 것”이라면서 민족 동질성 회복을 위한 노력도 계속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박 대통령은 북한의 DMZ 지뢰도발을 “정전협정과 남북간 불가침 합의를 정면으로 위반하고 광복 70주년을 기리는 겨레의 염원을 짓밟았다”고 규탄하고 “정부는 우리 국민의 안위를 위협하는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못박았다.그러면서도 “만약 북한이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민생향상과 경제발전의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면서 분단 역사상 최초로 대화로 평화통일을 지향한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을 언급했다.박 대통령은 “당시 남북간 대립과 갈등의 골은 지금보다 훨씬 깊었고 한반도의 긴장도 매우 높았다”면서 “하지만 조금이라도 더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들고자하는 의지가 있었기에 남북한은 용기를 내어 마주 앉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도 북한에게는 기회가 주어져 있다”며 “북한은 민족 분단의 고통을 가중시키는 도발과 핵개발을 즉각 중단하고 군사적 긴장완화와 신뢰구축의 길로 나와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