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14일 발표한 전후 70년 담화는 우리 모두를 실망케 했다. 아베 총리는 한국과 전 세계 역사학자들이 일본 과거 침략사에 대한 아베 총리의 진심어린 사죄를 기대했으나 “우리나라는 지난 전쟁에서의 행동에 대해 반복적으로 통절한 반성과 진심어린 사죄의 마음을 표해왔다”며 반성과 사죄를 과거형으로 에둘러 표현했다. 식민지배·침략을 반성하고 사죄한 무라야마 담화와 고이즈미 담화 등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을 확실하게 계승하라는 우리 정부의 요구를 외면했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해선 “여성들의 명예와 존엄이 상처받았다”는 식의 언급에 그쳤다. 아베 담화는 과거형 반성문이다. 그동안 우리 정부는 아베 총리에게 무라야마 총리 담화(1995년) 등 역대 내각 담화의 역사인식을 확실하고 분명한 언어로 표명해 줄 것을 촉구해 왔으나 역대 내각의 담화를 인용하되 자신과 현 내각은 발을 뺐다. 수식어만 번드레했을뿐 속은 빈, 교활하기 짝이 없는 말의 성찬이다. 이런 담화를 미국 정부는 ‘환영한다’고 했으니 기가 막힌다. 백악관은 14일(현지시간)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내고 “아베 총리가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준 고통에 대해 깊은 후회를 표현한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심지어 “지난 70년간 일본은 평화와 민주주의, 법치에 대한 변함없는 약속을 보여줬고 이런 전력은 모든 국가의 모델이 되고 있다”고 추켜세우기까지 했다. 백악관의 친일 성향의 이 같은 입장은 사과가 미흡했다는 이웃 국가와 세계 주요 언론의 평가와는 전혀 상반된 것이다. 무엇보다 미국의 이 같은 일본 편향이 우리나라 대미외교의 현주소를 의미하는 것 같아 씁쓰레하다.박근혜 대통령도 제70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아베의 전후 70년 담화에 사실상 수용 입장을 밝혔다. 아베 담화가 사죄와 반성의 진정성이 크게 떨어지고 오히려 과거사를 미화하기까지 한다는 국내외의 비판여론을 감안하면 의외의 결정이고 국민감정과도 동떨어진 것이다. 정부가 “역대 내각 담화의 역사인식을 확실하게 계승한다”는 점을 분명히(8월10일 외교부 대변인 성명)하는 것을 최소한의 충족 요건으로 삼아온 것과도 맞지 않다. 그간의 대일자세에 비춰 갑자기 너무 나약해진 느낌이다. 방미일정을 앞두고 미국의 눈치 보기라는 비판이 그래서 나오는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