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세 먹는 하마’란 오명을 쓰고 있는 대구시내버스 노조가 오는 25일 총파업 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대구시와 노조간 오는 20일과 24일 예정된 2차례의 조정회의에서 합의가 도출되지 않으면 대표적 서민 교통수단인 시내버스가 멈춰서는 교통대란이 우려된다.대구시내버스 노조는 지난 12-13일 가진 조합원 투표에서 참가자 2802명 중 97.2%인 2724명의 찬성으로 총파업안을 가결했다고 16일 밝혔다. 노조는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대구시와 10차례에 걸친 단체교섭을 통해 8.4%의 임금인상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지난 경북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냈다.반면 대구시는 ‘혈세 먹는 하마’로 비유돼 온 준공영제의 문제점 중 하나로 1년 경력의 신규 운전자가 20년 경력의 운전자와 맞먹는 ‘고임금’ 체계에 따른 예산부담을 이유로 노조 측의 임금인상안을 거부해 왔다. 대구시의 ‘신규 운전자에 대한 임금체계 조정’ 의견과 노조 측의 ‘임금 이원화 반대’ 주장이 충돌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올해 버스에 들어가는 시민들의 혈세가 1000억원을 넘어서는 대구시로서는 수용하기 어려운 요구다. 실제로 8.4%가 인상되면 근로자들은 한 달에 40만원가량을 더 받게 되고 버스재정지원금은 연간 175억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서울과 부산과 마찬가지로 3.7% 에서 합의하더라도 재정부담금은 78억원이나 늘어나게 된다. 재정부담을 줄이기 위한 준공영제 혁신안이 노조 파업이라는 암초에 부딪친 것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지역 시내버스 신규 운전자 연봉은 지역 일반노동자 평균 임금의 1.5-2배 정도인 5000만원 안팎에 이른다. 임금개선을 이유로 전면파업이란 지나친 집단이기주의의 발로로 지탄받을 우려가 있다. 이런 문제점으로 인해 준공영제를 시행하고 있는 수도권 등지의 일부 지자체에선 노조와 협의를 통해 신규 운전자의 기본급 체계를 일반노동자 수준으로 조정하는 대신 호봉수 증가에 따른 임금 상승률 체계 조정으로 형평성을 맞추고 준공영제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있다.대구시 정덕수 버스운영과장의 “노조측 요구안 다 들어주면 준공영제 안하는 게 맞다”는 말에 공감한다. 조율을 전제로 한 협상안이지만 전면파업 운운은 지나치다. 마지막까지 양측의 타협과 협조로 타결할 일이다. 버스는 공공성이 강한 ‘시민의 발’이다. 버스노조가 결의만 하면 세울 수 있다는 전근대적인 사고방식은 탈피할 때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