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유치 찬반 의견을 묻는 영덕 주민들의 주민투표가 투표율 32.5%에 그쳐 투표효력을 상실했다.영덕핵발전소 유치 찬반 주민투표관리위원회 등에 따르면 지난 11,12일 이틀간 치러진 찬반투표에서 전체 유권자 3만4432명 중 32.53%인 1만1201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주민투표법상 유효투표 기준인 1만1478명에 277명이 부족한 총 유권자의 3분의 1 이상에 못 미쳤다.투표자 중 91.7%인 1만274명이 영덕원전 유치를 반대했고 찬성은 7.7%인 865명에 머물렀다.정부는 영덕 주민투표는 법적 효력이 없는 투표로 지역 분열만 조장하는 행위라고 꼬집었다.  경북도도 16일 “원전을 유치한 영덕에 정부차원의 지원사업을 조기에 가시화하고 사업에 군민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고 영덕원전 유치에 힘을 실었다.도는 첨단열복합단지 등 정부에서 제안한 10대 사업에 구체적인 계획을 조속히 수립해 차질없이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도시가스 공급, 강구 해상대교 건설 등 지난해 총리 방문시 약속한 사업을 조기에 완료해야 한다는 것이다.원전건설 찬반투표는 법적 근거와 효력이 전혀 없는 것으로 정부도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못박았다.원전 건설은 에너지정책과 관련된 중요한 국가사무다.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 따르면 2035년까지 원자력발전설비 비중은 29%, 원자력발전 설비량은 42.7GW였다. 이는 현재 원자력발전설비 용량이 20.7GW이고 2024년까지 15.2 GW에 달하는 11기 신규원전 건설이 확정된 상태를 감안해도 추가로 7GW 이상의 신규 원전 건설을 해야 하는 계획이었다.그러나 삼척에 이어 영덕까지 법적 효력이 없는 주민투표를 통해 원전건설을 반대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지역 민심을 분열시키고 불필요한 갈등만 조장하는 행위인 것이다.세계 원자력발전 동향을 살펴보면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극히 일부 국가(독일, 스위스 등)를 제외하고는 원전 유지 또는 확대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이처럼 대부분 국가가 원전을 계속 유지 또는 확대하는 이유는 경제성과 환경성 때문이다. 일부 우려되는 안전성 문제는 기술발전과 관리강화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결론에 따른 것이다.2013년 세계원자력협회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까지 세계적으로 272기 신규원전이 건설된다. 이 시장을 놓고 미국과 프랑스, 일본, 우리나라 등이 경쟁을 벌이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원전을 통한 국부창출과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원전건설은 불가피한 선택인 것이다.정부가 추진하는 원전 건설예정지의 지역수용성과 관련돼 영덕주민들은 원전 유치 찬반으로 갈라져 서로 헐뜯고 있으니 영덕의 앞날이 걱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