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교육청은 학교장의 권한과 책무에 비춰 볼 때, 적격자만이 교장으로 승진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으로 학교장 역량평가를 도입한다.학교장 역량평가를 도입한 배경은 단위 학교 책임경영이 강화되고 학교장의 권한이 많이 부여되고 있는 현 학교 여건에서 성공적인 단위학교 운영과 학교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전문적 지도성을 갖춘 학교장을 확보하고 이들의 능력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일이 중요하다.따라서 교육경력, 과거의 업무실적 및 승진규정에만 국한된 승진체계로는 학교장 업무수행에 필요한 미래지향적인 학교를 경영하는데 많은 제약이 수반돼, 실무중심의 연수 운영 및 객관성과 공정성을 갖춘 평가시스템 운영으로 학교장으로서 필요한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해 리더십과 전문성이 있는 적격자를 교장으로 임용한다.학교장의 역량을 지원하는 연수프로그램은 학교장으로 갖춰야할 핵심역량 여섯 가지(△비전제시 및 공유 △문제해결 및 위기대응 △인사관리 △성과관리 △조정 통합 △의사소통) 중심으로 의사소통을 통한 갈등사례해결방법, 위기상황에서의 문제해결방법 등과 같이 모두 실무중심의 연수 운영으로 이뤄진다.평가방법도 학교현장의 사례중심으로 학교폭력사안발생시 대처방법, 각종 민원 및 학교내·외의 갈등 사례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장면을 제시하고, 서류함 기법(In basket), 역할연기(Role play), 집단토의(Group discussion) 등의 방법으로 학교장으로서 갖춰야할 실제적인 역량을 평가한다.학교장 역량평가 결과 반영은 초·중등·특수학교 교장승진후보자 대상으로 2016년에 시범운영 후 2017년 9월 인사부터 적격자만 교장으로 승진임용하며, 부적격자는 교장승진임용에서 제외하되 재연수 기회를 부여한다.우동기 교육감은 “학교장 역량평가는 단순히 부적격자를 걸러내는 기능보다는 학교장으로 갖춰야할 역량을 배양하는 것이 주목적이므로 학교장으로서 역량을 갖춘 준비된 교장이 될 수 있도록 각종 연수 등을 통해 다양한 지원을 할 것이며, 또한 교육수도 대구에서 선도적으로 학교장 역량강화 평가시스템을 도입함으로 인해 타 시·도의 벤치마킹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