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양천구 신정동의 한 병원에서 C형간염이 집단 발생해 방역당국이 역학조사에 나섰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C형간염이 집단 발병됐음에도 언론 등을 통해 이같은 사실을 안 것으로 알려져 방역당국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을 받게 됐다.지난 20일 질병관리본부는 ‘다나의원’ 이용자 18명이 C형간염 바이러스(항체)에 감염된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이 병원은 신정2동에 ‘신세계의원’으로 개원한 뒤 같은 해 12월 ‘다나의원’으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2010년 8월에는 신정2동 내 다른 장소로 이전했다. 감염자는 해당 의원 원장부인을 비롯해 종사자 2명, 환자 15명이다. 이들은 모두 이 의료기관에서 수액주사(정맥주사)를 투여받은 공통점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질본은 수액주사 처치과정을 통한 감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조사 중이다. 다행히 환자들은 증세가 없거나 경미한 상태다. 집단 감염 사태는 전날 양천구 보건소에 감염자 중 1명이 제보하며 알려졌다. 잠정 조사 결과 이달 초 해당 의원 원장 부인이 종합병원에서 C형간염에 걸린 사실을 확인하고 병원 종사자와 환자들을 상대로 한 감염 조사를 전문기관에 의뢰한 것으로 파악됐다.그러나 이 의원은 환자들에게 어떤 검사인지 알리지 않거나 결과도 통보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이런 과정에서 원장은 직원들을 불러 모아 환자들에게 감염 여부를 알리지 말라고 종용한 정황도 나왔다.문제는 이런 사실과 관련, 재난안전 당국이 C형간염 집단감염 사실을 언론 보도를 접하고서야 질병관리본부 측에 확인 요청을 취했다는 것이다.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를 겪고서도 정부간 감염병 정보 공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관계부처에 따르면 질본 측은 이날 오전 11시37분께 언론에 ‘한 의료기관 내원자 C형간염 집단발생 조사중’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하지만 3시간 여가 흐른 오후 3시가 다 되도록 국민안전처는 C형감염 집단 발병 사실은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안전처에는 현재 보건복지부 직원이 파견돼 있지만 이 직원들도 해당 보도자료가 나간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다. 안전처 관계자는 “질본 측이 공기에 의한 전염성이 없어 사회적 파급이 크지 않은데다 중소형 병원 한 곳에서 발생한 것이어서 충분히 관리 가능하다고 자체 판단해 우리 측에 통보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재난으로까지 분류되지 않더라도 감염병에 관한 모든 사항을 사전에 공유하기로 질본 측과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안전처는 메르스 사태 후 감염병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정책자문위원회 내 특수재난분과에 ‘감염병팀’을 신설했다. 하지만 지난 10월 건국대 서울캠퍼스 동물생명과학대 건물에서 원인 불명의 폐렴 증상 환자가 집단으로 발생한 지 11일 만에 상황관리관을 파견해 재난안전 당국이 뒷북 대응을 한다는 뭇매를 맞았다. 질본은 이날 서울 양천구 신정동의 다나의원 이용자 18명이 C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질본은 C형간염 감염자가 더 있을 수도 있다고 판단, 병원이 개설된 2008년 5월 이후 내원자 전원에 개별 안내해 C형간염 감염 여부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C형간염은 잠복기가 최대 150일인데다 병원 종사자도 감염돼 검사 대상을 최대한 넓혔다는 게 질본 측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