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김부겸 전 의원은 24일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이 생전에 붓글씨로 남긴 ‘통합과 화합’이라는 메시지에 대해 “갈등과 대립을 일삼는 정치인들에게 한 번 회초리를 친 것”이라고 평가했다.김 전 의원은 이날 오전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 사회자가 김 전 대통령이 남긴 ‘통합과 화합’이라는 메시지에 대한 해석을 요구하자 이 같이 답했다.그는 이어 “대통령을 지낸 분이시니까 우리 사회가 분열하고 서로에 대해서 증오하듯이 싸우는 것에 대해서 걱정이 있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부연했다.그러면서 “김대중, 김영삼 두 분 전 대통령이 ‘우리 국민들은, 또 우리 민족은 서로 손잡고 함께 나아가야 길이 있는 것이지, 따로따로는 길이 없다’는 말씀들을 종종 했다”며 “아마 그런 차원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고 했다.그는 김 전 대통령이 강조한 통합과 화합의 실천방안과 관련, “정당은 내부에서 스스로 당내 싸움을 어느 정도 질서있게 정리 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그러면서도 “같은 당내에 있으면서도 서로 원수 보듯이 그렇게 싸워선 안 될 것 같다”며 “지금처럼 승자독식 구조의 선거시스템이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김 전 의원은 ‘양김 시대’의 의미에 대해 “양김을 통해서 저희들은 정치적으로 한 단계 성숙했다. 87년체제라고 하는 현행 헌법 자체가 양김의 대표적인 정치업적이었다”고 평가했다.그러면서 “그 후속으로 ‘절차적 민주주의를 갖고는 밥을 못 먹는다, 실질적 민주주의로 바꿔야 된다’는 또 다른 시대적 요구는 남아 있는 우리들의 몫이다”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