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광화문 일대에서 진행된 대규모 집회에 대해 ‘폭력시위다’ ‘과잉진압이다’는 공방이 사그라들지않고 있다. 오히려 시민단체와 정치권에서는 ‘네 탓’ 다툼이 더 고조되는 상황이다.이 같은 진영논리 속에 정작 집회로 인한 피해자는 따로 있다. 바로 인근에서 생계를 꾸려가는 상인들이다. 토요일 광화문 일대는 주말 외출객이나 외국 관광객으로 북적인다. 주변 상인들에게는 대목과도 같은 날이다. 이 지역 상인들 말을 종합하면 평일보다 주말에는 평균 매출이 1.5배나 높다고 한다. 그러나 집회가 있던 지난 주말은 광화문 일대 상인들에게는 2008년 광우병 촛불 집회 이후 ‘최악의 날’로 기억됐다.장사도 안 될 뿐더러 혹시나 하는 피해를 막기 위해 아예 가게문을 닫아버리거나 일시 휴업해 장사를 포기해야 했다는 것이다. 그동안 이런 피해는 매년 몇 차례씩 반복돼 왔다. 상인들 사이에서는 여기서 장사하려면 집회·시위에 따른 피해를 감내하는 게 불문율처럼 돼버렸다. 인근 업주들은 서울시청 홈페이지에서 집회·시위 일정을 체크하는 게 하루일과라고 한다. 실제 집회가 있었던 지난 14일 인근 호텔에는 투숙객의 환불요구도 속출했다. 한 호텔은 시위·집회로 인한 소음을 막기 위해 3중 유리를 설치했다. 외국인 투숙객에게는 집회·시위에 대한 주의사항을 안내하고, 혹시 모를 위험에 대비해 직원이 목적지까지 데려다주는 서비스까지 등장했다. 이런 가운데 결혼식도 여러건 진행됐다.상황이 이렇다보니 장사가 제대로 될 턱이 없다. 이런 여파는 경찰과 시위대간 충돌이 있었던 다음날까지 이어졌다. 정확한 피해액을 산정하기는 어렵지만 이번 집회로 대중소기업은 물론 소상공인 수만명이 직간접적인 피해를 봐야만 했다.한국경제연구원(KERI)이 지난 2008년 발표한 광우병 촛불시위로 발생한 인근지역 사업체의 영업 손실 등 제3자의 손실이 5744억원으로 추산됐다. 또 경찰 자료에 따르면 제3자 직접피해 손실액이 9378억원으로 계산됐다. 이 중 인근 지역 사업체의 영업 손실이 9042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경찰의 인적·물적 소요비용을 합한(839억원) 것의 10배가 넘는 액수다. 이번 대규모 집회에는 주최측 추산 13만명(경찰 추산 6만4000명)이 집결해 2008년 이후 최대 규모로 기록됐다. 시위가 격렬했던 만큼 인근 상인들이 입은 피해도 어느 정도일지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피해는 정치권, 시민단체 어디에서도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말 한마디 잘못했다가 혹시나 영업에 지장을 받지 않을까 쉬쉬하는 분위기다. 시위 현장에서는 다수의 이익을 위해선 소수가 불이익을 감수해야 한다는 힘의 논리가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시위 주최 측은 다음달 2차 투쟁을 예고한 상태다. 이번에도 장소는 광화문 일대가 유력하다. 인근 상인들은 또 다시 피해를 입지 않을까 속앓이를 하고 있다. ‘네 탓 공방’이전에 민생피해 부터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하지않을까.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