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장인 3선의 노영민 의원이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에 카드 결제 단말기를 설치해놓고 자신의 시집을 산자위 산하기관에 판매한 사실이 드러나 물의를 빚고 있다. 최근 4선의 신기남 의원이 로스쿨 졸업시험에 떨어진 아들의 구제를 위해 로스쿨 부원장을 자기 사무실로 불러 상담했다는 사실이 공개돼 비난 여론이 높은데 이은 사건으로 국회의원의 대표적인 ‘갑질’에 속한다. 두 사람 모두 새정치연합 소속 국회의원이란 점은 당권 다툼에 편안할 날이 없는 정당이 아니고는 있을 수 없는 수준이하의 행태를 보이고 있다.노영민 의원실의 변명이 더 밉다. “그렇게 책을 구입한 기관은 딱 한곳이고 그마저도 이미 돈을 돌려줬다”고 해명하는 모양새가 ‘내가 뭘 잘못했냐’하고 대드는 느낌까지 묻어난다. 국민 세금으로 운영하는 의원실에 카드 단말기를 불법적으로 설치해 놓고 책을 팔겠다는 것은 국회의원으로서 최소한의 윤리의식마저 내팽개친 행위다. ‘피감기관이 의원들의 책을 사주는 건 관행 아닌가. 운이 나빴다’는 동정론을 펴는 국회의원들도 적잖다는 후문이다. 초록은 동색이라더니 여타 국회의원들도 싹수가 노랗다. 새누리당은 1일 새정치민주연합 노영민 의원의 시집 판매 논란에 대해 당 차원에서 명확한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했다. 신의진 대변인은 “노 의원은 우선 적절치 못한 처신으로 논란을 일으킨 점에 대해 국민께 사과해야 한다”며 “사법당국도 현행법에 저촉되는 부분이 있는지 철저하게 따져 필요하다면 냉철하게 조사해야 한다”고 짚었다. 우리는 노 의원의 행위 중 현행 여신금융업법에 따르면 사업장이 아닌 곳에 카드 단말기를 설치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한다. 사과 따위로 어물쩡 넘어갈 성질이 아니다. 새정치연합도 당장 윤리기구를 소집해 이 사안을 조사해서 엄벌에 처하는 게 마땅하다. 보도에 따르면 산자위 산하기관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정가 1만원짜리 시집을 수십-수백만원어치씩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물자원공사 200만원, 석탄공사는 50만원어치를 샀다. 기존의 출판기념회가 음성적 정치자금 통로라는 여론의 거센 비판에 휘말린 터여서 노 위원장이 신용카드 판매라는 새 꼼수를 쓴 것으로 보인다. 이런 사람은 국회의원 베지를 반납하고 상인으로 변신하는 것이 마땅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