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 의료관광사업이 경제성과 효율성, 실효성 등 어느 것 하나도 제대로 갖추지 못하면서 거액의 예산만 축내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2일 대구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오철환 의원의 발언으로 드러난 사실이다. 의료관광은 2009년 외국인 환자유치가 허용되면서 본격화됐다. 대구를 비롯한 전국의 지방자치단체가 의료관광에 뛰어들었다. 그 중에서도 대구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한 2014 의료관광 클러스터 구축 공모사업의 시범지역으로 단독 선정됐을 정도로 호조를 보였다. 공모사업에는 대구시를 비롯한 총 5개 시·도가 신청했고, 1, 2차 심사를 통해 대구시가 최종 선정됐을 정도로 경합이 치열했다. 의료관광 선도 도시로서 ‘메디시티 대구’의 비전을 실현해 나가고, 한국적 현실에 적합한 의료관광 클러스터 모델을 제시하는 등 의욕적이었다. 그랬던 것이 예산만 계속 투입될 뿐 실적은 보잘 것 없다는 것이니 어리둥절하지 않을 수 없다.오 의원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우리나라 의료관광 시장은 65% 이상 성장했지만 대구시는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대구시는 의료관광 활성화를 주요 정책과제로 삼고 있지만 2010년 5.5%에 달했던 의료관광시장 점유율이 2011년에는 4.5%, 2014년에는 3.7%로 계속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다. 반면 의료관광 사업예산은 2011년 7억원에 불과했지만 2013년도에는 16억원, 2014년도에는 28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해 2011년 대비 400%나 증가했다. 한편 의료관광객의 숫자는 2011년 5494명에서 2014년 9871명으로 2011년 대비 179% 수준에 불과하다. 예산 대비 실적이 형편없다. 반면 인천의 경우에는 2011년 4004명에서 2014년에는 1만7701명으로 442%로 증가했으며, 부산의 경우도 같은 기간 6704명에서 1만3717명으로 200% 이상 눈부시게 증가했다. 그간 시민을 농락하고 있었다는 분노마저 치민다. 대책이 필요하다. 대책은 오 의원이 잘 짚어 줬다. 현재까지 대구를 가장 많이 이용한 분야를 특성화해 집중 육성할 필요가 있다. 적극적으로 관광객들이 대구 의료관광의 홍보대사가 역할을 하도록 예산과 프로그램에 있어서 각별한 지원이 필요하다. 모든 방면에 욕심 낼 것이 아니라 지역 의료계가 강점을 가진 분야, 의료관광객들이 선호한 부문을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의 자세로 임하되 외국인 환자를 유치하는 관련 인프라를 개발한다는 정책적인 마인드가 필요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