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지도부가 지난 6일 합의한 ‘결선투표제’ 도입 문제를 놓고 친박과 비박계인사들이 치열한 신경전을 벌이며 정면대결 양상을 보이고 있다. 양측 모두 결선투표제 자체에 대해서는 일단 합의를 한 상태지만, 결선투표제 성립 요건을 놓고서는 극명한 대립각을 보이고 있다. 얼핏 보면 결선투표제 도입 방식을 놓고 ‘논리 대결’을 펴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현역 물갈이를 극대화하겠다는 친박계의 의도와 비박계쪽 현역 찍어내기를 최대한 막겠다는 비박계의 ‘목숨’을 건 전쟁인 셈이다. 당 일각에서는 양측이 이처럼 치열한 견해차를 드러내고 있는 가운데 최종적으로는 결선 투표를 100% 국민 여론조사로 타협 할 가능성도 있다는 견해가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 비박계 “과반 결선투표, 계파 떠나 현직 의원들이 수용 못할 것”비박계에서는 각 지역구별로 1차 예비후보경선을 치른 결과, 1-2위간 득표차가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과반 득표 유무에 상관없이 1위 득표자를 총선 후보로 낙점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이는 결선투표를 최소화 하겠다는 의도다. 비박계 한 의원은 9일 뉴시스와 전화통화에서 “후보가 난립하는 상황에서 특정 후보가 과반 득표를 차지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면서 “이런상황에서 어거지로 결선투표를 시행하게 되면 경선 후유증이 너무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또다른 의원은 “친박들이 과반 결선투표를 주장하는 이유는 친박 후보 단일화를 통해 결선투표에서 현역 비박 의원을 떨어뜨리겠다는 계산 아니냐”며 “이런식으로 결선투표를 특정 세력을 솎아내는 도구로 사용해선 안된다”고 반발했다.중립성향의 한 의원은 “지금 친박 핵심 인사들이 과반 결선투표제를 밀고는 있지만, 이는 단순히 친박이냐 비박이냐를 떠나 현역 의원에게는 매우 불리한 것 아니냐”며 “의총에서 이 문제를 공론화시킬 경우 친박들이 의원들을 생각처럼 컨트롤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