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민권익위원회의 청렴도 평가에서 대구시와 경북도가 낙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북은 꼴찌, 대구도 하위권으로 추락했다. 경북개발공사와 상주시도 최하를 기록했다. 충남도가 지난해보다 무려 10등급이나 수직 상승한 것이 부러울 뿐이다. 다행히 대구교육청이 1등급에 이름을 올려 교육도시의 체면을 살렸다. 국민권익위원회가 9일 발표한 종합청렴도는 최상위인 1등급에서 5등급까지 분류했으며, 외부청렴도와 내부청렴도·정책고객 평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부패사건 현황에 대한 점수를 종합한 것이다. 그 결과 대구경북 행정기관은 하위권에, 교육기관은 상위권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는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지난해 5위에서 올해 10위로 급추락, 3등급에 머물렀다. 경북도는 5등급으로 전국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아 자정노력이 요구된다. 경북도는 2013년 5등급, 2014년 3등급을 받은 바 있다. 대구-경북이 잇달아 미래 먹을거리를 개발하는 등 분주한 발걸음이었으나 정작 공직 내부는 썩고 있었던 것이다. 대구 구-군 기초단체 중에서는 달서구 남구 달성군이 2등급, 서구 수성구가 3등급, 중구 북구가 4등급, 동구가 5등급을 받았다. 경북 시·군 가운데는 경산시 예천군 봉화군 고령군이 2등급을 받은 반면 상주시와 영덕군 영양군 청송군이 5등급을 받았다. 1등급은 한 곳도 없고 모두 하위권으로 몰린 것이다. 지방공사 분야도 대구도시철도공사가 2등급을 받았을 뿐 대구도시공사는 3등급, 경북관광공사는 4등급, 경북도개발공사와 대구시설관리공단이 5등급을 받는 등 성적표가 형편없다.총체적으로 전국 17개 광역지방단체의 청렴도는 형편없다. 대전시만이 2등급을 받았을 뿐 모두 중하위권으로 추락했다. 공직자사회 부패와 공직기강해이가 박근혜 정부 들어 심각한 상황임을 말해주고 있다. 대구교육청이 1등급, 경북교육청은 2등급을 받은 사실에서 보듯 수장의 평소 의지가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이나 하위권으로 밀려 나 수모를 당하는 것이나 수장의 결심 여하에 따라 좌우될 일이란 의미다. 대구시와 경북도 등 평가가 나쁘게 나온 지자체와 공기관들이 대책을 수립하고 있지만 청렴도 1등급은 그럴듯한 처방전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수장의 추진의지가 확실하고 감사기관의 독립성을 철저히 보장하는 등 부패와의 전쟁을 벌인다면 가능한 일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