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농가소득이 순풍에 돛단격이다.지난해 경북의 농가소득이 전국 9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전년도 8위에서 3계단 올라 5위를 차지한 탓이다.이 사실은 통계청의 ‘2018년 농가경제조사’ 에서 확인됐다.조사에서 경북 농가의 연간 소득은 4092만원으로 2017년 3596만원에 비해 13.8%인 496만원이 늘었다.농가소득이 사상 처음으로 4000만원대에 진입했다. 광역시를 제외한 광역도 단위에서는 전년도 8위에서 3계단 오른 전국 5위다.농가 소득은 농업 소득과 농업외 소득, 이전 소득 및 비경상적 소득으로 구성된다.경북은 농업 소득에서 전년 대비 34.8%가 증가한 1743만원으로 2016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보조금과 연금을 포함한 이전 소득 및 비경상 소득 분야는 전년에 비해 14.3%가 상승해 전반적인 농가소득 증대를 주도했다.반면 농업외 소득은 하위권에 머물렀다. 전업농의 비율이 63%로 전북 다음으로 높아 겸업소득이 적고, 농가당 가구원수가 2.1명으로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전국평균 2.3명) 낮아 가구원의 근로소득을 통한 사업외 소득이 적어 농외 소득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농가소득과는 별도로 농가부채는 2556만원으로 전국 평균 3327만원을 밑돌고 있지만, 2017년의 1753만원에 비해서는 큰 폭으로 올랐다. 농축산시설 현대화와 스마트팜 확산을 위한 ICT융복합 시설 설치 등 농업구조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시설투자가 농가부채 증가의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됐다.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지난해 기록적인 폭염과 가뭄에도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고 농작물 재해보험으로 농가경영 안정에 노력한 결과 농가소득이 전년도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고 말했다.도는 농외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아 이 부분을 보완하는 정책을 강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