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연대노동조합은 지난 27일 한국수력원자력㈜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원전 방사선관리 분야 파업을 예고하고 이를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번 파업은 지난 23일 경북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 중지에 따라 쟁의권을 확보하면서 노조 방사선안전관리지회 소속 121명이 전원 투표와 전원 찬성으로 결정됐다. 앞서 노조는 한수원에 이 분야 원전업무 외주 중단과 정규직 전환을 촉구해왔다. 또 용역업체인 하나원자력기술㈜과 임금협상 등 7차례의 교섭을 진행했으나 해결점을 찾지 못했다.  현재 방사선관리 분야 용역업체는 모두 9곳이다. 그중 노조와의 임금협상 대상 업체는 3곳이다.   노조는 포항고용노동지청과 하나원자력기술㈜에도 쟁의행위를 통보하고, 1월 초 부분파업 등 다양한 형태의 파업에 돌입키로 했다.  노조 관계자는 “한수원은 지난 25년 동안 경주 월성원자력본부를 비롯한 5개 원전 14개 발전소의 방사선 안전관리 업무를 용역 업체에 맡겨 왔다”면서 “용역노동자의 교육과 재료·장비 등을 모두 제공함에도 막대한 이윤을 노무 및 공사 용역업체에 안겨주는 기형적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번 파업으로 인한 방사선안전관리의 공백에 대한 책임은 원전업무를 외주한 한수원과 원안위에 있으며 근본 문제 해결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