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환경사회단체가 낙동강 녹조 독소가 포함된 농산물의 학교 급식 사용금지를 요구하고 나섰다. 정부와 시교육청에 낙동강 녹조 독소 농산물에 대한 전면 실태조사도 촉구했다.
낙동강대구경북네트워크와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등 17곳 단체(이하 환경단체)는 29일 오전 대구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 급식에 낙동강 녹조 독소가 포함된 농산물이 사용되지 않도록 정부와 시교육청이 적극 나서서 실태조사와 걸맞은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환경단체가 부경대학교 이승준 교수팀에 의뢰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지난 2월 낙동강 강물로 기른 무와 배추, 쌀 등 농산물에서 녹조 독성인 마이크로시스틴이 1.249㎍(합산 기준)검출됐다. 이는 프랑스 생식 독성 기준 20.81배가 넘는 수치다. 마이크로시스틴은 청산가리의 100배 이상 독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곽상수 대구환경운동연합 운영위원장은 “채소류와 과일류 등 낙동강 주변의 광범위한 농산물 오염은 불 보듯 뻔하다”며 “(그럼에도)환경부는 농림부 문제라 하고, 농림부는 다시 식약처 문제라고 하고 있다. 민간이 나서서 조사하고 발표할 게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유통과정 등을 면밀히 조사해야 한다. 사태를 방치한다면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농민단체는 정부가 보 수문개방을 두고 “농업용수 때문이라는 것은 핑계”라며 “녹조 농업용수 때문에 독성 농산물이 생산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낙동강의 재자연화가 문제해결의 필수 선행조건”이라고 지적했다.
김태현 전국농민회총연맹 경북도연맹 의장은 “낙동강 물로 농사지었을 뿐인 농민을 피해자인 동시에 2차 가해자로 만들고 있다”면서 “물은 흘러야 하고 고이면 썩는다는 것은 초등학생도 알고 있는 사실”이라며 녹조 문제 해결을 위한 낙동강 보 수문 개방을 재차 강조했다.
교육계는 낙동강 녹조 독소가 포함된 농산물의 학교 급식 사용을 우려했다.
임성무 전교조 대구지부장은 “가습기 살균제가 치명적이라는 사실은 문제가 발생한 뒤였다. 당장 먹고 탈이 나지 않더라도 교육은 미래를 준비하는 것 아닌가. 교육청에서 심각성을 인지하고 낙동강 주변 농산물을 조사해 각 학교에 공개하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환경단체 회원들은 이날 ‘흘러라 낙동강’ 구호를 외치며 녹조를 상징한 녹색 쌀을 폐기박스에 버리는 퍼포먼스를 펼치기도 했다.
이들은 기자회견 이후 시교육청 관계자들과 면담을 가졌다. 시교육청이 교육부와 환경부에 적극 건의해 줄 것을 요청했다.
대구교육청 관계자는 “환경단체가 제기한 심각성은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 쌀은 각 학교에서 전국을 대상으로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교육청 차원에서도 대응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