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올해 벼 재배면적을 크게 줄인다. 도는 12일, 벼 재배면적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고 식량작물 자급률을 높이고자 올해 도내 벼 재배면적 9만6000ha의 12.8% 정도인 4090ha를 감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쌀 적정생산제’는 농림축산식품부 차원에서 논에 콩, 밀 등 타작물 재배를 유도해 쌀 공급 과잉을 해소하기 위한 시책으로 농가의 신청을 받아 추진된다. 신청요건은 농업경영체 등록을 한 농업인 또는 법인으로 지난해 벼를 재배한 논에 올해 타작물 재배 또는 휴경을 계획하고 있는 농지로 품목 및 면적 제한은 없으며, 다른 지원 사업과 중복 지원도 받을 수 있다. 참여 희망 농가는 ‘벼 재배면적 감축협약 신청서’를 농지 소재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다음달 31일까지 제출하며 된다. 도는 7월까지 이행 여부 확인을 거쳐 8월 중순까지 공공비축미 배정 물량 확정 등에서 인센티브를 줄 방침이다. 참여 농가는 1ha 기준 공공비축미 150포대를  추가 배정을 받을 수 있다. 농업법인·RPC·지역농협 등은 농식품부 공모사업 신청 때 가점을 받을 수 있고 벼 매입 무이자 자금 차등 배정, 무이자 경영자금 및 농기계 지원 우선 선정 등의 혜택도 받는다. 경북도는 행정, 유관기관, 농협, 생산자단체 등 34명이 참여하는 ‘쌀 적정생산 대책 추진협의회’를 구성하고 농가 참여 홍보, 실적 관리, 작목 전환에 따른 기술 교육 및 컨설팅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12일에는 농업인회관에서 농식품부, 시군, 쌀전업농, 들녘경영체 등 1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설명회도 열었다.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벼 감축면적 달성을 위해 추진 협의체 운영 및 참여 홍보 강화, 목표에 대한 실적 관리 등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