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미분양 아파트 감소세가 8개월 연속 이어졌다.
하지만 `미분양 1만 가구의 벽`이 14개월째 깨지지 않고 있으며, 준공후 미분양 역시 1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국토교통부와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의 미분양 공동주택은 10월 말 기준 1만376가구로 전월보다 125가구(-1.2%) 줄어드는 등 지난 3월부터 시작된 감소세가 8개월째 이어졌다.
그러나 전국 미분양 물량(5만8299가구)의 17.7%를 차지해 여전히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은데다 지난해 9월(1만539가구)부터 시작된 `1만 가구 벽`이 14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악성`으로 불리는 준공후 미분양 역시 903가구로 전월(712)보다 191가구 늘어 한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 5월(919가구) 이후 5개월 만에 다시 900가구대를 기록하는 등 1000가구대를 위협하고 있다.
구·군별 미분양 물량은 남구가 2329가구로 가장 많고 달서구(2238가구), 북구(1431가구), 수성구(1428가구), 동구(1116가구), 중구(1039가구), 서구(719가구), 달성군(76가구) 순이다.
10월 대구의 주택 매매 거래량은 2309건으로 전년 동월(1037건) 대비 122.7% 증가했지만 전월(2453건)에 비해서는 5.9% 감소했다.
주택 인·허가 실적은 20호로 1년 전(1190호)보다 98.3% 감소했으며, 신규 분양은 1건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