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부동산 전문가 10명 중 4명은 올해 하반기를 내 집 마련의 적기로 전망했으며, 부동산 반등 시기로는 절반 이상이 내년을 예측했다.
8일 대구지역 부동산전문 광고홍보대행사인 애드메이저에 따르면 최근 대구 부동산 전문가 110여명을 대상으로 부동산경기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 적정 시기`로 41.1%가 `올해 하반기`를 꼽았다.
`올해 상반기(25.9%)`. `2025년(20.5%)`, `2026년(10.7%)`이 뒤를 이었다.
올해 부동산경기 전망은 `매우 좋지 않다` 47.3%, `좋지 않다` 33%로 부정적인 견해가 80.3%에 달한 반면 `매우 좋다(0.9%)`와 `약간 좋다(6.3%)` 등 긍정적인 견해는 7.2%에 불과했다.
대구 부동산의 반등 시기로는 절반이 넘는 56.3%가 2025년을 예측했다.
`2025년 상반기`가 30.4%로 가장 많았다.
`2025년 하반기(25.9%)`, `2024년 하반기(18.8%), `2026년 상반기(10.7%)`, `2026년 하반기(7.1%)`, `2027년 이후(5.4%), `2024년 상반기(1.8%)` 순이었다.
현재 부동산시장 침체의 가장 큰 이유로는 `공급물량(40.2%)`과 `입주물량(25%)`, `금리인상(20.5%)`, `부동산 규제(8%)`를, 부동산 경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입주 및 미분양 물량(36.6%)`, `대출 및 부동산규제(27.7%), `금리인상(26.8%)`, `실물경기(4.5%)`를 꼽았다.
침체한 부동산시장의 안정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부동산 금리인하(60.7%)`, `다주택자 제약해제(25.9%)`, `분양촉진지구 지정(8.9%)`이 꼽혔다.
대구와 인근에 추진되는 대규모 개발지구 중 가장 투자가 유망한 곳으로는 `수성구 연호지구`가 59.8%로 가장 많았으며 `동구 K2부지(22.3%)`, `수성구 대공원지구(8.9%)`, `동구 펜타힐즈(5.4%)`, `경산 대임지구(0.9%)`가 뒤를 이었다.
조여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