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 지난해 농식품 수출이 사상 최초 9억달러를 달성했다.  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농식품 수출이 기록적인 성장세를 보인 것은 K-경북푸드의 우수한 상품성과 지원정책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그는 “우선 올해 농식품 수출 10억달러를 달성, 미래를 준비하는 수출지원정책을 통해 경북 농식품이 세계 먹거리 경쟁에서 선두에 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2013년 2억7222만달러에서 지난해 9억3314만달러(1조2,200억원)로 11년간 약 3.4배 늘어나는 성장세다.  같은 기간 수출 국가와 품목 또한 63개국 203개 품목→146개국 797개로 늘어나 양적으로 성장했다. 품목별로는 포도, 쌀, 참외 등이 크게 성장했다.  포도는 32.4% 증가했고, 3,535만달러, 쌀은 68.7% 증가한 370만달러, 참외는 122.6% 증가해 138만달러를 수출했다. 가공식품 중에는 음료류, 붉은대게살, 주류, 김치, 낙농품 등이 성장세를 주도했다.  음료류는 5.6% 증가한 9,474만달러, 붉은대게살은 17.7% 늘어난 2,735만달러, 주류는 31.0% 증가 2,704만달러, 김치는 1.6% 증가 1,074만달러, 낙농품은 23.2% 증가해 3,193만달러를 달성했다. 도는 이같이 농식품 수출성장이 장기간 지속적으로 성장한 데에는 농식품 가공산업 대전환 추진 등으로 생산-유통-판매 전반을 지원하는 농식품 수출 지원정책이 크게 성과를 낸 것으로 보고 있다. 신선농산물의 경우 안정적인 수출을 위해 정부지정(32곳), 도지정(33곳) 수출단지 및 예비 수출단지(31개소)라는 3단계 공급 기반을 확보했다.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제인증(FDA, HALAL, KOSHER), 포장디자인 개발비를 지원하는 등 간접지원과 2023년 62회의 해외 판촉활동을 펼쳤다. 도는 3500만달러 정도를 수출하는 샤인머스캣(포도)뿐만아니라 소비층이 다양, 수출 잠재력이 큰 고소득 작물인 딸기를 특화품목으로 지정햇다.  2030년 1000만달러까지 수출 신장을 목표로 20곳의 “딸기수출단지를 집중 육성하는 등 전략품목 개발에 집중,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개항에 대비한다. 가공식품은 안동소주, 음료, 김치 등의 국제식품박람회 참가, 해외상설판매장 운영 등 해외 판촉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 인지도를 높인다. 김성용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