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대대적인 부동산 규제 완화 이후에도 주택 입주율(입주 지정 기간이 도달한 아파트 가운데 자금을 완납한 가구 비중)이 여전히 침체 분위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반적인 부동산 경기 침체로 주택 거래가 사실상 끊기면서 기존 주택을 팔지 못해 입주하지 못한 분양계약자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새집 입주를 포기하고, 세를 주려 해도 고금리 탓에 세입자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거래 절벽에 따른 입주율 저하와 미분양 누적 등으로 건설·시행 등 주택사업자들이 제때 자금을 회수하지 못해 유동 위기가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해 12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이 하락하면서 70%를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7.3%로 전월 대비 5%p(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10월 70%대를 회복했던 입주율은 11월 72.3%로 연고점을 찍은 뒤 하락하면서 다시 60%대로 하락했다.
지역별로 수도권이 81.1%에서 76.2%로 4.9%p 떨어졌다.
5대 광역시는 70.1%에서 65.0%로, 기타 지역은 70.7%에서 65.8%로 각각 하락했다.
세부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에서는 서울(84.9%→79.9%)과 인천·경기권(79.3%→74.3%) 모두 소폭 하락했다. 지방에서는 특히 강원권의 입주율이 65.0%에서 53.7%로 11.3%p나 떨어졌다.
미입주 원인으로는 기존 주택매각 지연(49.1%)을 가장 많았고, 잔금대출 미확보(18.2%)와 세입자 미확보(18.2%)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이달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79.4로 지난달에 비해 7.7p, 작년 같은 달에 비해 20.0p 각각 상승했다.
수도권은 81.6에서 77.3으로 하락한 반면, 광역시는 74.4에서 80.4로, 도 지역은 66.0에서 79.4로 각각 상승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5만7925가구로 집계됐다. 지난 2월(7만5438가구)과 비교해 감소한 수치다.
다만 준공 후 미분양은 1만465가구에 이른다. 2년8개월 만에 1만 가구를 돌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