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군이 교육부의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신청에 적극 대응한다. 손병복 울진군수는“울진은 원자력수소 국가산단의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해 교육 및 정주 여건 개선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역인구가 감소하는 지방소멸의 시대에 지역의 공교육 발전을 통해 저출산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더 나아가 국가 균형발전을 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교육발전특구 지정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울진군은 얼마전 교육발전특구 추진 협력체(이하‘협력체’)를 구성, 위촉식과 사업계획 보고회를 가졌다. 협력체는 손병복 울진군수와 황석수 울진교육지원청교육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한다.  3개 대학교(영남대, 동국대 WISE 캠퍼스, 경일대학교)교수, 관내 초·중·고등 교육기관 대표, 관내 학교별 대표 학부모를 위원으로 폭넓게 구성했다. 울진군 공교육 혁신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든는다. 교육발전특구는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 중 하나다.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공공기관 등이 협력, 공교육 혁신, 지역인재 양성, 정주 여건 개선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교육부는 공모를 통해 올해 3월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을 지정한다.  위촉식 진행 후 준비한 기획서(안)을 바탕으로 △늘봄학교 운영방안 △자율형 공립고 우수 모델 창출 방안 △학교복합시설 지원사업 방안 △국가산업단지 입주 대기업과 고등학교·대학교의 연계를 통해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뽑기 위한 교육과정 개설 방안 △대학교 유치 및 특례 입학 △지역 정주여건 개선을 통한 지역 인재 유출방지 방안 등을 논의했다. 군은 오는 23일 경북교육감과 협약을 맺고, 2월 중 지방시대위원회 심의를 거쳐 3월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지정받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한다. 교육발전특구와 관련, 좋은 아이디어가 있다면 누구든지 인터넷과 우편으로 손쉽게 제안할 수 있는 아이디어 공모를 1월 말까지 진행, 국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든는다. 이정수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