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대원과 의료진의 환자 중증도 분류체계가 통일된다. 119구급대가 병원을 찾지 못해 환자가 구급차에서 치료 골든타임을 놓치는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소방청은 오는 2월1일부터 병원 전(前)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체계(Pre-KTAS)를 전국 시행한다고 15일 밝혔다.  병원 전 응급환자 분류체계란 119 구급대가 판단하는 중증도 분류체계를 병원 의료진의 기준과 일치시키는 것이다. 해당 기준이 적용되면 현장 구급대원과 의료기관이 환자 상태를 동일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현 상황에서는 구급대원이 중증환자로 분류해 응급실로 이송해도 의료진이 사용하는 `한국형 중증도 분류체계(KTAS)`와 중증도 분류 기준이 달라 환자를 수용하지 않는 일이 발생하곤 했다. 소방청과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및 대한응급의학회는 2021년 12월부터 관련 논의를 이어왔고, 2차례 시범사업을 거쳐 개선·보완 의견을 수렴해 병원 전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 체계 완성도를 높였다. 병원전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체계(Pre-KTAS)는 경증환자보다 중증환자의 안전·이송·분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송단계부터 환자 증상에 따른 적정 병원 선정으로 의료기관의 수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방청은 오는 2월 전국 시행을 앞두고 지난해 6월부터 12월까지 전국의 구급대원 약 1만3000여 명을 대상으로 Pre-KTAS 도입 및 운영을 위한 사전교육을 진행했다. 박용주 소방청 구급역량개발팀 팀장은 "전문자격을 갖춘 119구급대원이 현장에서부터 병원과 같은 기준으로 환자를 분류하는 만큼 구급대원과 응급의료진 간의 더욱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