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올해 외국인의 지역 정착을 지원·확대하는 `경북형 외국인책임제`를 추진한다. 지역 맞춤형 외국인 비자 제도로 지난해 영주시, 영천시, 의성군, 고령군, 성주군 등 도내 5개 시군 29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지역특화형비자 제도를 올해는 대폭 확대해 15개 시군 1000명을 법무부에 지난 8일 신청했다. 15개 시군은 지난해 시행 5곳과 봉화군, 영양군, 청송군, 영덕군, 울진군, 청도군, 울릉군 문경시, 상주시, 안동시 등 10곳이다. 오는 26일 법무부가 선정 시군을 발표한 후 다음달부터 연말까지 이 제도가 시행된다. 도는 광역비자(R-비자) 발급을 위해 관련 시행령과 법률 개정도 추진한다. 외국인 우수인재 유치 플랫폼 구축에도 나선다. 이공계 석·박사 과정 외국인 우수 인재를 유치해 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북형 초청 장학제도(K-GKS)`를 시행할 대학으로 도는 지난 12일 포항공대, 금오공대, 안동대, 대구대 등 4곳을 선정했다. 이들 대학이 양성한 외국인 인재는 반도체, 2차전지 등 연구인력이 부족한 지역 우수기업에 취업하게 된다. 외국인 장학생들은 오는 9월에 입학해 졸업 이후 지역에 최소 3년 이상 취업 또는 상위 과정으로 진학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국어 연수 과정 1년을 거친 후 석사는 2년, 박사는 3년 동안 학비와 체류비를 경북도로부터 지원받는다. 사업 첫해인 올해는 4개 대학에서 각 10명씩 총 40명의 외국인 유학생을 지원한다. 이들 외국인 우수인재의 취업·주거·비자 해결을 위해 경북도는 지난 17일 구미에 K-드림외국인지원센터를 개소했다. 이 곳은 경북도가 도비 4억원을 지원해 지역특화비자 사업과 함께 외국인 원스톱(입국→정착→사회 통합) 지원을 하게 된다. 구미비즈니스센터 1층에 있는 이 센터는 상담실과 강의실, 회의실 등으로 구성돼 외국인들이 활용할 수 있으며, 앞으로 도내 외국인 관련 기관의 거점 역할을 하게 된다. 비즈니스센터 내 대구 출입국외국인사무소 구미출장소가 함께 입주해 있어 비자 업무로 비즈니스센터를 방문하게 되는 외국인에게 경북의 외국인 정책 홍보와 서비스 지원을 위한 접근성이 좋아 시너지 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또 외국인 정착지원과 사회통합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정착초기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생활정보, 경북학 등을 교육하는 경북글로벌학당을 운영하고 한국의 개발 경험을 공유하는 초청장학제도도 지방정부 최초로 추진하며, 외국인에 대한 인식 개선 분위기 확산 및 정책 개발을 위한 글로벌개방사회포럼도 개최한다. 정성현 경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외국인의 입국부터 정착까지 종합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는 선도적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김성용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