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전체 수출·입의 중국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성장 산업인 이차전지 양극재 등 정밀화학원료 원료의 대중국 수입 의존도가 너무 높아 다양한 공급망 확보가 시급하다. 이 사실은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가 발표한 대구·경북 수출입의 대중국 의존도 분석 보고서에서 확인됐다. 보고서에서 지난해 전체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대구 35.2%, 경북 31.4%다. 전국 19.7% 대비 각각 15.5%포인트, 11.7%포인트 높다. 수입 비중 또한 대구 60.8%, 경북 32.5%로 전국 22.2%를 크게 상회했다. 지난해 대구 수출은 전년대비 3.5% 증가한 110억 달러, 수입은 3.0% 증가한 84억 달러로 역대 최대 교역규모를 달성했다. 최대 수출 및 수입국은 2022년에 이어 모두 중국이 차지했다. 대중국 수출은 4.5% 증가한 39억 달러, 수입은 2.9% 증가한 51억 달러로 대구 전체 수출입에서 각각 35.2%, 60.8%를 차지했다. 대중국 수출 및 수입의존도 모두 역대 가장 높다. 수출과 수입을 합한 대중국 교역의존도 또한 역대 최고치인 46.2%로, 대구 전체 교역의 절반 가까이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셈이다.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는 ‘최근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라 대구경북의 배터리 이차전지 소재 대중국 교역액이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향후 전기차의 소비 둔화가 후방산업인 배터리 업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지역의 대중 정밀화학원료 교역에도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했다. 이차전지 소재 생산시설이 다수인 지역 관련기업의 공급망 확보를 위한 공동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미 생산기업에서 진행 중인 핵심 원료의 국산화는 물론 해외 광산 개발을 통한 핵심 자원의 사전 확보와 함께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경북의 지난해 수출은 전년대비 12.4% 감소한 411억 달러, 수입도 3.3% 감소한 209억 달러로 집계됐다. 경북 또한 중국이 2022년에 이어 지난해 최대 수출 및 수입국인 것으로 분석됐다. 대중국 수출은 전년대비 16.2% 감소한 129억 달러를 보인 가운데, 수입은 21.6% 증가한 68억 달러를 시현했다. 중국이 경북 전체 수출의 31.4%, 수입의 32.5%를 차지한 것이다. 전체 교역에서의 차지비율도 역대 가장 높은 31.8%로 분석됐다. 대구와 경북의 최근 대중국 교역의존도가 급격히 높아진 것은 이차전지 소재인 정밀화학원료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대구의 경우 정밀화학원료는 전체 수출입 1위 품목으로 수출의 31.2%, 수입의 45.7%를 차지하고 있다.  대중국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72.4%, 수입의 59.8%를 차지하고 있다.  경북 또한 정밀화학원료는 전체 수출의 9.2%, 수입의 21.2%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과의 교역에서도 수출 6.3%, 수입 56.1%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정밀화학원료 등 주요 원료의 수입통계를 활용해 세부 품목별(HS Code 10단위 등) 수입의존도를 분석해 본 결과, 대중국 수입의존도가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는 이차전지의 양극재 및 음극재 생산에 사용되는 9개 수입품목 가운데 중국이 수입 1위인 품목은 모두 7개로 최저 96.3%에서 최대 100.0%까지 의존도를 보이고 있다. 경북의 경우에도 17개 수입품목 가운데 중국 수입 1위인 품목은 모두 9개로 최저 64.0%에서 100.0%까지 의존도를 보였다.  대다수 품목의 대중국 수입의존도가 전국 평균을 상회한다. 희토영구자석, 희토류 등 기타 주요 원료의 대중국 수입의존도 또한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무협 대경지역본부 관계자는 "최근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라 대구경북의 배터리 이차전지 소재 대중국 교역액이 크게 증가했다"고 했다. 향후 전기차의 소비 둔화가 후방산업인 배터리 업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지역의 대중국 정밀화학원료 교역에도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무협 대경지역본부는 "이차전지 소재 생산시설이 다수인 지역 관련기업의 공급망 확보를 위한 공동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고마ㅓㄹ했다. 무엇보다"이미 생산기업에서 진행 중인 핵심 원료의 국산화는 물론 해외 광산 개발을 통한 핵심 자원의 사전 확보와 함께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도 이뤄져한다"고 강조했다. 조여은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