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난 경주 원전 주민들이 국회로 몰려가 투쟁을 했다.
고준위 방폐물 특별법의 때문이다.
경주를 비롯한 원전 지역주민과 산·학·연 관계자들이 23일 국회에서 고준위 방폐물 특별법의 2월 중 처리를 촉구했다.
이날 범국민대회에는 경주·울진·울주·기장·영광 등 5개 지역주민과 방사성폐기물학회, 원자력산업협회, 한국전력기술, 두산에너빌리티, 대우건설, 현대건설, 한국원자력연구원, 경희대·서울대 등 8개 대학에서 총 600여 명이 참석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인 김성원 의원과 법안 대표발의자인 김영식 의원, 김석기(경주)·정동만(기장)·서범수(울주) 의원이 참석해 힘을 실었다.
참석자들은 "21대 국회 회기 종료를 앞두고 고준위 특별법이 자동 폐기되지 않도록 마지막 해결 의지를 보여달라"고 요청했다.
원전 주민들은 성명서를 통해 “40년 이상 고준위 방폐물을 발전소 내에 두고 있는 지역의 고통을 더이상 외면하지 말라”고 호소했다.
원자력 전문가, 산업계, 대학생 등이 잇따라 성명을 발표하며 국가적 난제 해결과 원전산업 활성화, 미래세대를 위한 책임을 다하기 위한 대승적 결단을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여·야가 머리를 맞대 진정 국민이 원하는, 국민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마무리해 줄 것을 촉구하는 공동건의문을 채택하기로 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고준위 특별법 제정은 여·야 논쟁을 떠나 현 세대가 해결해야 할 필수 과제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시장은 “원전과 사용후핵연료를 가까이 안고 살아가는 지역 주민들의 생존이 달린 만큼 이번 회기 내에 법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여‧야 국회의원들께 간곡히 호소한다”고 덧붙였다.
행사에 참석한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남은 2월 임시국회 기간 중 산중위 통과를 위해선 국회의 협력이 절실하다”면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는 마지막 순간까지 법 제정에 최선을 다하겠”고 말했다.
고준위 특별법은 원전 부지 내 사용후핵연료(고준위 방폐물) 습식 저장조의 포화상태가 진행,임시저장시설 및 영구처분시설의 마련이 시급한 상황에서 2021년 9월 처음 발의됐다.
윤용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