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수학 성취도 평가에서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은 `최우수` 학력을 유지하고 있지만 중학생들은 상당수가 `보통` 학력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15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국가 및 국제 학업성취도 자료 연계를 통한 우리나라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성취 특성 분석` 연구보고서를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를 모두 실시한 학생들에 대한 심층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NAEA(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TIMSS(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비교연구) 등 국내 및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자료를 연계했다.
2010년 초등 4학년을 대상으로 치러진 TIMSS 2011과 2012년 초등 6학년을 대상으로 치러진 NAEA 2012를 비교·분석한 결과 TIMSS에서 `최우수`였던 초등생 1330명 중 68.8%인 915명이 NAEA에서도 `최우수` 학력 수준에 분포하고 있었다.
보고서는 "초등 4학년 때 시험 본 TIMSS의 성취 수준과 초등 6학년 때 시험 본 NAEA 성취 수준의 경향이 크게 바뀌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반면 TIMSS 2011에서 `최우수`였던 중2 2411명 중 40.3%에 해당하는 971명이 NAEA 2011에서 최상위 수준인 `우수` 학력에 분포하고 있었다. 54.1%에 해당하는 1304명은 `보통` 학력으로 나타나 보통에 해당하는 학생이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TIMSS 2011에서 `최우수`였지만 NAEA 2011에서 최하위인 `기초 미달`로 분류돼 학력이 저하된 것으로 보이는 학생도 10명이 있었다.
또 TIMSS 2011에서 `보통` 수준이었던 학생들 중 74.4%가 NAEA 2011 `기초` 학력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TIMSS에서 최상위 수준이었던 학생들이 초등학교 NAEA에서는 최상위 수준에 가장 많이 분포했던 것에 비해 중학교에서는 `우수`가 아닌 `보통`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고 정리했다.
연구팀은 "우리나라에서는 지속적으로 수학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지만 상대적으로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에 대한 지원이 약했다"며 "특히 중학교의 상위권 학생들은 계속해서 우수한 학업을 유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으나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 및 지원이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부모의 학업에 대한 관심은 더 커졌지만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태도 또는 교과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으로 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초등생의 경우 학교 공부에 대해 부모와 이야기한다고 응답한 학생 비율은 2010년 62.8%에서 2012년 68.4%로 증가했다. 초등학교에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부모들의 학교 공부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학교 역시 학교 공부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 있다고 긍정적으로 응답한 학생의 비율은 2010년 54.9%였으나 2011년에는 63.3%로 증가했다.
하지만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초등생의 경우 `수학이 즐겁지 않다`고 부정적으로 응답한 학생 비율은 2010년 29.0%였으나 2년 후인 2012년에는 41.5%로 12.5%p 높아졌다.
`수학 공부가 일상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긍정적으로 대답한 중학생 비율 역시 2010년 70.4%에서 2011년 61.8%로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