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원 / 원전출입기자.
원자력발전소 관련 주요 공기업의 전·현직 수장들이 원전 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의 핵심 보직을 잇따라 맡아 원전의 안전보다 이용에 더 관심이 많은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원자력산업회의는 지난 5일 제43차 정기총회와 이사회 등을 열고 민모 전 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초대이사장을 상근부회장으로 선임했다.
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은 현 원자력환경공단의 전신(前身)으로 경북 경주시 양북면 일원에서 국내 첫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을 건설 중이며 향후 국내외 주요 이슈가 될 원전에서 사용한 사용후핵연료 등 고준위 방폐물 처분방식 마련을 위한 공론화 작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특히 민 전 이사장은 한전 원자력건설처 사업관리역과 영광원자력 건설소장을 거쳐 한국수력원자력(주)의 사업처장과 사업본부장, 방폐물사업본부장 등을 역임한 원전 및 방폐물사업 전문가이다.
더구나 지난해 12월에는 국내 원전 건설과 운영을 실질적으로 책임지고 있는 한국수력원자력 조모 사장이 취임한 지 얼마 안 돼 이 원자력산업회의 회장이 됐다.
원자력산업회의 회장은 그동안 한전 사장들이 맡아 왔는데 한수원 사장이 회장으로 취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수원은 한전이 100% 출연한 자회사다. 원자력산업회의 사장의 격을 한 단계 떨어뜨린 것 보다는 전문인이 맡도록 한 측면이 강하다.
이처럼 국내 대표적 원전 관련 공기업의 전·현직 수장들이 잇따라 원전 이용과 원전산업 진흥을 위한 단체로 몰리자 원전지역 주민과 시민단체들은 원전 이용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칫 원전 안전이 뒷전으로 밀려나지나 않을까 우려하는 모습이다.
이와 관련해 학계 전문가들도 "최근 원자력산업 선진국인 일본에서 대규모 원전사고가 발생한 것은 원전에 대한 안전규제와 이용부문이 구분되지 않는 등 안전보다 이용쪽에 더 관심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편 한국원자력산업회의는 지난 1972년 국내 원자력 관련 산업체가 원자력의 이용과 원자력산업의 육성 등을 위해 설립한 단체로 정부와 관련 기관, 산업체 등 80여 회원기관으로 구성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