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가장 많은 인명사고를 낸 세계 해양사고는 2011년 9월 아프리카 탄자니아 잔지바르와 펨바섬 사이 인도양 해상에서 발생한 `스파이스 아이슬랜더1호` 전복 사건이다. 이 사고로 2966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됐다.2006년 2월 홍해 해상에서 카페리 여객선 `알 살람 보카치오98호`가 폭발해 988명이 실종되거나 사망했다. 2008년 6월에는 필리핀 시부얀섬 인근 남중국해에서 `MV스타 프린세스호`가 태풍 펑센 영향으로 침몰, 831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됐다. 또 ▲2006년 12월 `세노파티 누산타라호`(373명 사망) ▲2012년 7월 `스카깃호`(293명) ▲2009년 1월 `테라타이 프리마`(232명) ▲2004년 2월 `수퍼페리 14호`(194명) ▲2005년 7월 `디굴호`(174명) ▲2013년 8월 `세인트 토마스 아퀴나스호`(137명) ▲2006년 4월 `북한 은덕-1호(123명) 등이 10대 세계 해양사고로 꼽히고 있다.이밖에도 ▲2012년 3월 103명의 목숨을 앗아간 `라바울 퀸호` 침몰 사건 ▲2004년 3월 `삼손호`(95명 사망) ▲2009년 8월 `프린세스 아시카호`(88명) ▲2009년 12월 `발레노 나인호`(50명) 등이 대형 해양사고에 포함된다.현재 수색·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는 `세월호`(476명 탑승) 사고 역시 수 많은 목숨을 앗아갔다.◇최근 10년간 발생한 대형 해양사고(연도별)▲2004년 2월27일 `수퍼페리 14호`(194명 사망·실종)필리핀 마닐라베이 코레히도르섬 인근 해역에서 엔진 폭발. 당국은 테러단체 소행으로 추정함.▲2004년 3월9일 `삼손호`(95명 사망)마다가스카르 마하잔가항 인근에서 태풍 사이클론 가필로의 영향으로 침몰.▲2005년 7월7일 `디굴호`(174명 사망·실종)인도네시아 파푸아주 해상에서 기상악화로 인해 전복.▲2006년 2월2일 `알 살람 보카치오98호`(988명 사망·실종)사우디아라비아 홍해 해상에서 폭발.▲2006년 4월8일 `북한 은덕-1호`(123명 행불)북한 동해 해상에서 전복.▲2006년 12월29일 `세노파티 누산타라호`(373명 사망·실종)자카르타 북동부 자바 해역에서 침몰.▲2008년 6월21일 `MV스타 프린센스호`(831명 사망·실종)필리핀 시부얀섬 인근 남중국해에서 태풍 펑센 영향으로 침몰.▲2009년 1월11일 `테라타이 프리마호`(232명 사망)인도네시아 술라웨서 서부에서 태풍 사이클론 샬롯 영향으로 침몰.▲2009년 8월5일 `프린세스 아시카호`(88명 사망)남태평양 섬나라 통가에서 침몰.▲2009년 12월26일 `발레노 나인호`(50명 사망)필리핀 베르데섬 산아가피토 해상에서 전복.▲2011년 9월10일 `스파이스 아이슬랜더1호`(2966명 사망·실종)탄자니아 잔지바르와 펨바섬 사이 인도양 해상에서 전복.▲2012년 2월2일 `라바울 퀸호`(103명 사망)파푸아뉴기니 핀스카펜 북동쪽 비스마르크해 해상에서 악천후로 침몰.▲2012년 7월18일 `스카깃호`(293명 사망)탄자니아 춤베섬 잔지바르 해협에서 기상악화 영향으로 침몰.▲2013년 8월16일 `세인트 토마스 아퀴나스호`(137명 사망·실종)화물선 MV서플리시오 익스프레스 시에테와 충돌 후, 필리핀 세부 라위스레지 인근에서 침몰.▲2014년 4월16일 韓 `세월호`전남 진도군 병풍도 북쪽 3km 앞 바다에서 침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