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로 수학여행을 떠난 고교생과 일반인 등 476명이 탄 대형 여객선이 어처구니 없는 사고로 침몰하는 대형 사고가 발생, 나라가 온통 발칵 뒤집혔다. 하지만 학생들의 단체여행 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사설 체험캠프와 올해 경주 신입생 수련회 사고들이 잊을 만하면 또다시 터지곤 한다. 이런 사고 모두가 후진국형 참사임을 부인할 수 없어 안타깝다. 교육부는 지난해 발생한 사설 체험캠프 사고 이후 수련 활동과 수학여행 매뉴얼을 기존보다 강화해 학교에 전달했다. 수학여행은 대규모로 이동하는 획일적인 활동을 지양하고, 세 학급, 100명 이내 소규모로 실시하도록 권장했다. 하지만 이번에 그 매뉴얼이 지켜지지 않은 것도 필히 따져봐야 할 것이다. 교육부 매뉴얼에는 수학여행과 체험활동 모두 청소년활동진흥원이 인증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게끔 돼 있다. 하지만 관광, 관람, 견학과 같은`일회성 단순 체험`은 예외로 규정한다. 학교 측이 수학여행을 관광상품으로 선택하기만 하면 매뉴얼에서 예외가 되는 것이다. 매뉴얼만 만들고서는 제대로 감독하지 않는 교육당국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고 있는 이유다. 이번 기회에 단체형 수학여행 형태를 지양해야 한다는 여론도 많다. 한 학년 학생 전체가 똑같은 일정으로 함께 떠나는 집단형 수학여행 관행이 대부분 학교에서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 것은 다시 살펴봐야 할 것이다. 기존 수학여행 형태는 학생 수만큼 교통사고 같은 변수가 많아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다. 건강문제와 같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전원이 참석해야 하는 관행 역시 문제가 있다. 그 대안으로 진로와 연결된 체험학습을 진행하면, 그 분야에 관심 있는 학생만 참여하게 돼 소규모 여행이 가능하고 교육 효과도 클 것이다. 학급 단위로 주제를 정해 떠나는 테마여행 형태도 바람직하다. 실제로 일부 학교에서는 이러한 대안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지금 각급교육청은 긴급 대책회의를 갖고 선박을 이용하는 현장체험 학습을 전면 중지하기를 각급 학교에 요청하고 있다고 한다. 시의적절한 조치지만 구두선에 그치지 말아야 한다. 청소년 체험활동이 늘어나는 시기임을 감안해 각급 학교와 청소년 체험시설을 대상으로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학생 안전이 가장 중요한 것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학생들이 대규모로 참여하는 수학여행·현장체험학습·수련활동 행사의 안전에 빈틈이 없어야 하는 게 이번 사고가 던지는 교훈이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