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극 총리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과 인사청문요청서 국회 제출을 놓고 정부와 여권이 계속 혼선을 혼선을 빚고 있다. 한일합방ㆍ위안부 등과 관련한 문 후보 발언을 놓고 논란이 증폭되고 있는 탓이기는 하지만 여권의 조정능력도 기대이하라고 할 수 있다. 서청원 새누리당 의원은 엊그저께 오전 기자회견에서 "문 후보자가 국민을 위한 길이 무엇인가 잘 판단해야 된다"고 말하면서 한때 후보 자진사퇴론이 번졌다. 친박계 좌장이자 유력 당권주자인 그의 위상을 감안한 여권 내 기류 변화로 받아들인 것이다. 오후 들어 문 후보자 측이 "임명동의안 제출을 예정대로 한다"며 사퇴설을 뒤집었으나 정부가 오후 늦게 "오늘 임명동의안, 인사청문요청서 국회 제출이 어려울 것 같다"고 밝히면서 또 한 번 상황이 반전됐다. 표면적으로는 우즈베키스탄을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 일정 때문에 임명동의안 재가를 받지 못했다는 이유를 내세웠다. 계속해서 정부와 여권이 갈팡질팡한 모습을 감안하면 이런 설명을 액면 그대로 믿어야 할지 의문이다. 정홍원 총리의 사의를 수용하기로 한 지도 50일 이상 흘렀다. 이명박정부 이래 총리 임명동의안이 국회에 제출된 후 본회의에서 비준되기까지는 평균 19일이 걸렸다. 이런 마당에 종교ㆍ시민단체들은 연달아 총리 지명 철회를 요구하고 나서고 새정치민주연합은 `문 후보자를 반드시 낙마시키겠다`며 벼르고 있다. 신임 총리는 세월호 참사로 상처받은 민심을 수습하고 안전ㆍ재난대응 시스템 개혁 같은 국가개조를 이끌어내야 하는 중차대한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 문 후보자는 계속해서 "현재까지 사퇴 생각이 없다"고 밝혔지만 현실은 매우 유동적으로 보인다. 총리 외에 최근 교체된 장관 7명의 인사청문요청서도 이번주 중 국회에 제출될 예정인데 이들에 대한 검증이 제때 이뤄질지도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총리ㆍ장관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청와대와 새누리당이 중심을 잃은 채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여 참으로 딱한 생각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