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가 밝힌 지난해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를 보면 한심하다. 이 결과를 보면 2012년 경영평가 결과보다 크게 떨어졌다. 최고 등급인 S등급을 받은 곳은 한군데도 없고 그 다음 등급인 A등급은 받은 곳은 두 군데에 불과하다. 반면 낙제점인 D, E등급을 받은 곳은 30개로 2012년보다 두 배 가까이 늘었다. 기본적으로 경영성과가 부진한 데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안전관리 등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책무 부문에 엄격한 잣대를 들이댔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부채과다 및 방만경영 기관으로 꼽혔던 30개 중점관리 대상 공공기관의 성적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는데, 결과가 나쁘기는 마찬가지다. 2012년보다 나은 평가 등급을 받은 곳은 네 군데에 불과했고 같은 수준을 유지한 곳은 여섯 군데였다. 반면 등급이 떨어진 곳은 20군데나 됐다. 국민 안전에 위험 요인을 촉발하거나 파업 등으로 국민 불편을 초래한 곳은 평가등급이 크게 떨어졌다. A등급을 받았던 선박안전기술공단은 세월호 부실 검사 등의 이유로 낙제점인 E등급으로 급전직하했다. 안전관리 노력이 미흡했다는 평가를 받은 울산항만공사도 E등급을 받았다. 원자력발전소 부품 납품 비리에다 원전 정지 사태로 큰 폭의 적자를 면치 못한 한국수력원자력은 D등급에서 E등급으로 떨어졌다고 한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안전관리를 소홀히 하면 국민의 질타를 대신해 매우 나쁜 평가를 받게 됨은 물론 경영상 큰 타격을 받게 된다는 점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을 것이다. 현오석 경제부총리는 이와 관련해 "부채가 과다한 공공기관의 임직원 성과급을 절반으로 삭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결과를 볼 때 성과급 절반 삭감에서 그친다면 임직원들에게는 매우 다행스런 일이다. 해임 건의 대상 기관장이 두 명에 그친 만큼 모든 공공기관들은 안전관리 강화 및 부채 삭감에 가일층 노력해야 할 것이다. 520조 원을 넘는 공공기관 부채를 이대로 두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다들 공감하고 있는것이 현실이다. 아울러 공공성 강화라는 본연의 임무와 안전 강화에도 더욱 힘써야 존재이유를 인정받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