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와 축협이 자원순환형 농업기반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 사업 대상 부지를 놓고 축산단체와 금오공대가 마찰을 빚고 있다.구미시와 축협은 지난 1월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사업에 따른 구미시도시계획(수질오염시설) 결정(안) 및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에 대한 공람공고(구미시 공고 제2014-106호)`를 통해 구미 산동면 성수리(19만3806㎡) 일원을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 사업지로 선정했다.국비 22억5000만원을 포함해 도·시비 등 총 44억9000여 만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가축분뇨를 수거해 유기물비료(퇴비·액비)를 생산하는 자원순환형 농업기반 구축사업 일환으로 구미시와 구미칠곡축산업협동조합이 건립을 추진 중이다.그러나 문제는 가축분뇨를 수거, 처리하는 공동자원화시설이 들어설 위치에 대규모 교육시설이 인접해 있다는 점이다. 금오공대 관계자는 22일 "축협이 제출한 환경영향평가 보고서에는 가축분뇨처리시설이 대학과 1㎞ 떨어져 있는 것으로 허위 왜곡해 평가를 받았다"며 보고서 부실작성의 문제점을 주장하며 교육환경 침해 등을 내세워 사업철회를 촉구했다.이어 "입지선정 과정에서 이해 당사자간의 민원해소를 전제로 하는 농림식품부의 기본방침을 충족하지 못하는 등 부실한 행정 처리로 인한 민원을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특히 "사업부지 울타리와 200여m 거리에 학생들이 상주하는 기숙사가 있다. 가축분뇨처리시설이 들어설 경우 악취는 산골짜기를 따라 고스란히 기숙사로 옮겨지게 된다"며 학생들의 생활권 침해를 우려했다.또한 "학교보건법상 학교 경계선 200m 이내(환경정화구역)에는 가축분뇨처리시설을 설치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170m 거리에 위치한 부지에 가축분뇨처리시설을 건립하는 것은 학교보건법에도 위배되는 것"이라며 반대 이유를 설명했다.이런 상황에서 구미시가 최근 시의회 임시회(제187회)에 가축분뇨처리시설 설치에 관한 의견 청취 후, 사업을 강행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금오공대 본부와 학생, 동창회 등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앞서 금오공대는 지난 16일 구미시와 시의회에 축산분뇨처리시설 위치 이전에 관한 진정서를 제출했고, 총학생회는 17일 국민권익위위원회에 고충 민원을 신청해 놓은 상태다.이와 관련, 축협 관계자는 "사업 부지를 정하는 데 3년이 걸렸다. 다시 새로운 부지를 물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며 "대학 측이 수용해주길 바란다"고 밝혀 사업 추진에 난항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