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이 23일 동부전선 총기난사 사건과 관련, 정부와 군 당국의 책임을 추궁했다.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 공동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GOP(최전방 초소)에서 발생한 난사사건으로 희생된 병사들의 명복을 빌고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나라도 지켜야 하지만 군에 보낸 부모의 마음도 지켜야 한다"며 "국민을 지키는 군이 국민의 걱정거리가 됐다. 국방부장관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냐"고 따졌다.같은당 안철수 공동대표도 "군인들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에게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면서 군 당국에 "군은 고성 등 인근 주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신속하게 검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안 공동대표는 또 "군에 자식을 보내고 밤잠 못 자는 부모들을 안심시키도록 이번 사건이 왜 일어났는지 원인을 국회가 정부와 함께 검증해야 한다"며 "세월호 참사가 두달 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다시 이런 일이 일어나 참담하다. 위험요소들에 대한 총체적 점검과 대비를 서두르라"고 촉구했다.박영선 원내대표도 "군대 보낸 아들을 두고 있는 어머니들은 걱정이 또 늘어난 채 주말을 보냈다"며 "온 국민과 함께 어머니의 이름으로 희생자가 더 발생하지 않도록 기원한다"고 밝혔다.정의당 천호선 대표는 이날 당 상무위원회의에서 "2005년 경기도 연천에서도 유사한 사건이 일어나 국민을 충격과 슬픔에 빠뜨린 바 있다"며 "군 당국은 왜 이런 사고가 반복되는지, 병영생활 지도에 어떤 문제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철저히 조사하고 이를 있는 그대로 밝혀야 한다. 특히 관심병사제도가 똑바로 작동하는지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고 당부했다.같은당 심상정 원내대표도 "관심사병은 비전문가인 지휘관의 관리통제 대상으로 취급돼왔을 뿐 전문가들의 상담과 치유의 과정을 전혀 받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김관진 국방장관은 2011년 해병대 총기 사건에 대해 무거운 책임을 통감하고 재발방지를 약속한 바 있다. 철저한 진상조사와 차후에 책임 규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