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과학기술 역량 강화를 위해 12조7000억원대의 정부 연구개발(R&D) 예산 중 지역과 관련된 유망기술·분야의 예산 확보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대구경북연구원 김병태 박사는 26일자로 발간되는 `대경 CEO 브리핑` 제 397호의 `정부의 R&D 예산 주목하라`란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김 박사는 논문에서 "국가과학기술심의회가 2015년도 주요 R&D 416개 사업의 12조243억원 예산과 일반 R&D 35개 사업의 6921억원 예산을 이달 중 심의해 7월까지 기획재정부에 제출한다"는 내용을 담았다.그는 대구·경북의 연관 산업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적합한 분야를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김 박사는 "내년도 정부의 R&D 투자방향은 과학기술을 연계한 경제부흥, 사회문제 해결을 통한 국민행복 제고, 과학기술의 기본역량 강화"라고 주장했다.그는 "지난 5월 과학기술심의회가 확정한 창의·융합형 미래성장동력 분야 중 대구·경북에 설치할 예정인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시스템` 추진단과 `지능형 로봇` 추진단의 세부사업 발굴에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김 박사는 "500억원 이상 대형 연구시설과 인프라를 구축할 경우 정부는 과학기술심의회에서 2~3년 주기로 작성하는 국가대형연구시설 구축지도에 반영된 시설에 예산을 먼저 배정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