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원자력발전소 수리 부품 등을 납품하는 24개 업체를 검찰에 고소했다. 원전 부품과 경주 방사성폐기물처리장 건설자재 등의 시험성적서를 위·변조했다는 이유다. 원전 안전을 위협하는 비리가 얼마나 뿌리 깊은지 거듭거듭 생각나게 한다. 산업부가 발표한 감사 결과를 보면 24개 납품업체 중 7개 업체는 원전 정비기관인 한전KPS에 11건의 위·변조 시험성적서를 버젖히 제출했다. 3개 업체는 경주 방폐장을 건설 중인 한국원자력환경공단에 낸 시험성적서를 위·변조했다. 엉터리 서류로 납품된 부품은 안전과 직결되는 핵심 부품은 아니라고 하지만 그렇다고 국민이 마음을 놓을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대형 사고에는 전조가 있는 법이다. 산업부가 적발한 혐의들이 그 전조는 아닌지 국민 걱정은 태산 같다.국내 전력 수요는 매년 2.5%씩 늘고 있다. 원전 찬성론자도 반대론자도 에너지 소비를 줄여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외치지만 소비 추세는 변함이 없고, 앞으로 바뀔 전망도 없다고 한다. 정부가 원전 비중을 현재의 26.5%에서 2035년까지 29%로 늘리겠다고 나설 수밖에 없는 것도 이 때문이다. 현재 23기인 국내 원전도 늘 수밖에 없는 상태다.국민 다수는 원전 증설을 불가피한 선택으로 본다. 그러나 증설을 당연시하는 이들조차 안전에 대한 의구심과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반대 입장에 서있는 이들도 결코 적지 않다. 법적 절차를 밟아 확정된 원전 신설 계획을 백지화하겠다고 벼르는 이번 6,4선거의 지방단체장 당선자가 있을 정도이니 말이다.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을 보는 눈은 완전히 달라졌다. 이젠 경제논리만으로 원전 증설에 대한 국민 동의를 구하기는 지극히 어렵다. 원전 안전에 대한 신뢰를 국민 뇌리속에 깊숙히 심어줘야 한다. 그럴 방도가 없다면 원전 확대론은 차라리 원상태로 두는게 나을수도 있다. 자칫 국가적 혼란만 부를수도 있기 때문이다.산업부 감사 결과는 불편한 진실을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고 하겠다. 국민 생명을 예사로 보면서 부당 이득을 탐하는 고질적 풍조가 원전 분야에서 여전히 활개를 치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엄중한 대처가 필요한 시점이다. 국민안정을 위해 이들을 일벌백계로 다스려야 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