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대표경선 유력 주자들이 26일 `쇄신`과 `박심(朴心·박근혜 대통령 의중)`을 둘러싼 미묘한 신경전을 이어갔다. 새누리당 초·재선 의원들로 구성된 쇄신전대추진모임은 이날 오후 전당대회 후보들에게 보낸 공개질의서에 대한 후보들 각자의 답변서를 공개했다. 답변서에서 서청원 의원은 전당대회 쇄신 방안을 묻는 질문에 사실상 김무성 의원을 겨냥한 `후보검증위원회 설치` 방안을 내놨고 김무성 의원은 `과거와 미래` 프레임을 내세웠다. 서 의원은 답변서에서 "집권여당 대표에 대한 국민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사전검증 제도를 활성화시켜야 한다"며 후보검증위 설치를 주장했다.서 의원은 "검증은 네거티브가 아니다. 집권여당의 혁신은 당 지도부부터 솔선수범하는 엄격하고 엄중한 자기검증을 통해 출발할 수 있다"며 "공신력 있는 당 기구가 후보 검증을 객관적으로 할 수 있다면 후보들 간의 네거티브 캠페인은 설자리를 잃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또 다시 과거와 같은 구태가 난무하는 전당대회로 간다면 공멸하고 말 것이다. 미래를 향한 깨끗한 전당대회를 만들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사실상 서 의원을 겨냥한 `과거와 미래` 프레임을 꺼냈다. 김 의원은 "줄세우기, 세과시, 돈봉투 없는 3무(無) 선거운동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각 후보들에게 신사협정체결도 제안했고 `클린 전당대회 협의체`도 제안했다"며 "비방과 사실 왜곡 등 네거티브 선거는 끝까지 하지 않을 것이며 상대방이 네거티브를 하더라도 일절 대응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두 의원은 `박심`과 관련해서도 팽팽한 줄다리기를 이어갔다. `친박 핵심` 서 의원은 `청와대 등으로부터의 경선 중립 방안`에 관한 질의에 "박근혜 대통령은 전당대회에 어떤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다. 기우라고 생각한다"고 일축했다. 이에 반해 김 의원은 "청와대를 들먹거리는 후보는 있지도 않은 `박심`을 팔겠다는 것인데 부끄러운 일이며 그만큼 자신감이 없다는 증거"라고 강하게 말했다. 김 의원은 "전당대회는 민심과 함께 가는 당 지도부를 뽑는 선거다. 민심과 함께 가지 않는 당심이 있을 수 있는가"라고 물으며 "민심을 잘 반영하려면 중간에 들어오는 어떤 잡음과 검은 손도 막아야 한다. 그래야 당이 똑바로 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당직자와 지방자치단체장 등도 중립을 지켜야 한다. 줄을 세워서도 안 되지만 전당대회 때마다 스스로 줄을 서는 잘못된 행태도 사라져야 한다"며 "혁신하는 마음으로 청와대든 당직자든 지자체장이든 깨끗하고 공정하고 아름다운 전당대회를 위해 엄정 중립을 지켜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인제 의원은 경고가 3회 누적되면 당선을 무효로 하는 `3진 아웃 제도` 도입과 권역별 연설회와 TV토론 횟수 증가 등을 방안으로 내놨고 홍문종 의원은 엄격한 처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태호 의원은 현행 당규에 규정된 벌칙 조항의 강화 및 예외없는 적용과 TV토론회 등을 통한 선거운동 방법의 확대를 제시했고 김영우 의원은 후보 간 클린 협약식 체결과 엄격한 당 선관위·지도부의 선거 관리를 제안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