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병기 국정원장 후보자 등 부총리·장관 후보자 8명에 대해 국회에 인사청문 요청서를 제출했다. 박 대통령이 지난 13일 이들 후보자를 내정하고도 중앙아시아 3국 순방과 `문창극 총리 후보자 논란` 등으로 시일이 늦어졌다. 이미 이 과정에서 일부 후보자의 과거 행적이 속속 드러나면서 자질 및 도덕성 시비가 불거져 앞으로 인사청문회 과정이 주목된다.인사청문회 통과 기준은 당연히 자질과 능력이다. 인사청문회법에도 명시된 것으로 이를 통해 정부의 인사권 남용을 막도록 했다. 이런 기준에서 보면 먼저 김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시비를 불러올 요인이 많다. 제자 논문 표절에다 자기 논문마저 표절한 의혹을 사고 있다. 또 연구실적 부풀리기, 연구비 착복 의혹 등이 쏟아져 나와 원로 교육학자라는 평판이 무색할 지경이다. 나라의 백년대계를 책임질 교육정책 수장으로 과연 적격인지 의문이다. 더욱이 교육부 장관은 사회·문화부문까지 총괄하는 사회부총리를 겸하는 자리 아닌가.다른 후보자들도 따져볼 의혹들이 많다. 이 국가정보원장 후보자는 2002년 대선 불법자금 문제에 연루됐고 1997년 대선 `북풍` 공작에 관여했다는 의혹이 있다. 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으로 지난 한 해 홍역을 치른 사실을 생각하면 이런 인사가 적합한지 생각할 문제다. 또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 후보자는 장교 복무 중 박사과정을 다니다 전역 후 5개월 만에 학위를 받아 군복무 특혜의혹을 사고 있다. 기자 출신의 정성근 문화체육부 장관 후보자는 아리랑TV사장이 된 지 4개월 만에 자리를 옮겨 관련 분야 경험이 전무하다.국회는 이번만은 빈틈없는 검증으로 청문보고서를 채택하는 달라진 국회상을 보여주기 바란다. 20일간 청문일정을 허송세월하는 무책임하고 무능한 이전의 입법부를 탈피해야 한다. 이번 개각은 세월호 참사에 따른 것이기에 책임이 막중하다. 야당은 지엽적인 문제로 청문회를 공전시키는 것을 경계하고, 여당 역시 감싸기로 일관하는 보기싫은 모습을 더는 보여서는 안 된다. `세월호 참사후` 국회상이 어떤 모습일지 국민이 예리하게 지켜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