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계속 불거지는 일탈 의혹은 하루가 멀다 하고 추가되고 있어 한심스럽기 짝이 없다. 김 후보자는 지난 13일 지명된 이래 교수 임용·승진 과정의 반(反)윤리적 처신, 논문 가로채기와 표절, 연구비 부당 수령 등 ‘비리(非理) 요지경’이라고 할 정도로 온갖 의혹의 중심에 서있어 보기 민망할 정도다. 급기야 김 후보자가 신문에 기고한 칼럼들까지 제자에게 대필(代筆)시켰다는 증언까지 나오고 있다.한국교원대 대학원에서 김 후보자로부터 석사학위 논문 지도를 받았던 현직 초등학교 교사 이희진 씨가 편지나 전화로 알려온 폭로 등에 대한 일부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그 행태는 글로 옮기기조차 민망할 정도로 파렴치하다. 이는 교육계의 큰 망신이 아닐 수 없다. 이 교사의 증언은 매우 구체적이어서 사실일 개연성이 커 보인다. 주요 내용은 “(김 후보자가) 다른 대학이나 기관에 특강을 나갈 때 필요한 원고를 석사과정 학생이 매번 대신 썼다” “프리젠테이션 자료 역시 학생이 만들었다” “원고와 자료를 다 읽을 수 없으니 중요한 부분만 발췌해서 발표할 원고만 따로 메모로 만들어 달라고도 했다” 는것 등이다. 집필·작성을 제자에게 맡기고도 자신의 이름으로 발표한 위선(僞善)은 신문에 기고한 칼럼들도 예외가 아니었다고 한다. “교수님이 말씀해주시는 방향과 논지로 학생이 글을 쓰고, 교수님께서 그 글을 확인하신 뒤 조금 수정해 넘기시는 것”으로 폭로됐다. ‘교육학자’ 허울 아래 수많은 독자까지 기만(欺瞞)한 것으로, 후안무치(厚顔無恥)의 전형이면서 범법 행위에까지 해당한다.이 교사는 “지금 표절 의혹이 제기된 (김 후보자) 논문 중 상당수는 제가 같이 수업을 들었거나 연구실에서 뵈었던 사람들의 논문”이라며 “저는 그 논문을 원저자가 쓰는 과정도 봤고, 다 쓴 논문을 교수님을 제1 저자로 하여 학술지에 싣기 위해 학생이 요약하는 과정도 여러 차례 보았다”고 밝혔다. 이런 증언들의 일부만 사실이라 하더라도 김 후보자는 공직을 맡을 자격이 없다. 교단에 설 자격 역시 마찬가지다. 김 후보자는 9일 열릴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해명하겠다지만, 이어찌 그때까지 미룰 일인가. 2010년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자문위원 위촉 당시 제출한 이력서에 허위 경력을 표기한 의혹을 포함한 모든 논란에 대해 당장 사실 그대로 정직하고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 사실이라면 교육부 장관 후보직에서 자진 사퇴하고 교육계를 떠나는 것이 마지막 남은 양심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