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 대구경북건설지사는 6월30일 지사 회의실에서 달성군 논공읍 하1리 주민대표들과 345kV 북경남제2분기 송전선로 건설사업 지역 지원사업 협약식을 가졌다. 행사는 주민대표인 하1리 윤태화 위원장 등 7명과 대구경북건설지사 이강현 지사장과 송전건설업무 담당자들이 참석했다.한전과 마을주민들은 그간의 추진 경위와 지역지원 합의에 이르기까지의 어려웠던 문제 해결과정을 함께 이야기하며 하1리의 발전과 345kV북경남2분기 송전선로 건설 사업이 적기에 이루어지도록 함께 노력하자고 다짐했다.사업은 765kV 신고리-북경남 송전선로 연계사업으로 영남권의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해 올 12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765kV 신고리~북경남 송전선로가 건설된다 하더라도 북경남2분기 송전선로의 건설이 지연되면 신고리 원자력 발전력을 영남권에 공급할 수 없는 중요한 사업으로 하1리와 지역 지원 사업을 합의,교착상태에 빠져 있는 인근의 미 합의된 4개마을과의 지역 지원 사업 합의도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345kV 북경남 제2분기 송전선로는 선로길이 43km, 철탑 116기를 건설하고 있고, 달성군에 53%인 62기의 철탑을 건설하고 있다. 이번 협약서를 체결한 논공읍 하1리는 마을 앞산에 345kV 송전선로가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마을 뒷산으로 송전선로가 신규 건설됨에 따라 마을 앞뒤가 송전선로로 둘러싸여 마을주민들이 엄청난 피해를 주장하고 있는 특수한 상황이다.북경남2분기 송전선로 건설을 반대하는 달성군 반대 대책위원장이 거주하는 마을로써 송전선로건설과 관련하여 수십차례의 정보공개청구, 감사원 공익감사청구, 지역 국회위원과 달성군청에 민원 제기 등 송전선로 건설반대와 기설 송전선로 피해보상 및 철거를 조직적으로 요구해온 마을이다. 한국전력 대구경북건설지사는 주민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1년 여 동안 10차 협의체 회의, 대안노선 검토와 256회의 토지소유주 면담, 대안노선 마을 주민협의, 산업부 협의, 하1리 주민대표와 한전직원이 공동으로 대안노선의 마을주민 경과지 협의 등을 진행한 결과 경과지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받아들이고 , 전격적으로 지원 사업 협의로 국면을 전환하여 7차 운영위원회 회의를 가졌다.달성군 주민에게 드리는 사장 서한문과 송변전 건설처장과 주민대표 면담, 전력계통건설 본부장과 반대대책위원장의 본사 면담 추진 등 어려운 협상과정과 우여곡절 끝에 전격적으로 합의에 이르게 됐다.협약식에서 이강현 지사장은 한전은 하1리 주민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대안노선에 대하여 진정성을 갖고 검토하는 등 하1리 입장을 이해하는 등 Win-Win하는 모범적인 민원해결 사례로 남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