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에서 의류나 신발을 구매한 후 품질 문제로 한국소비자원에 심의를 의뢰한 제품 가운데 절반 이상은 불량으로 드러났다.한국소비자원은 2011년부터 2014년 4월까지 백화점에서 판매한 섬유제품 4554건을 심의한 결과 50.9%(2319건)가 품질에 하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품질 하자는 소재 등 제조불량, 염색성, 내구성, 내세탁성 불량으로 발생한 문제를 말한다. 반면 소비자 과실은 786건(17.3%)에 불과했으며 세탁업자 과실은 103건(2.3%)으로 확인됐으며 하자가 없는 것으로 판명된 경우는 1030건(22.6%)이었다. 심의대상은 백화점이 소비자원 섬유제품심의위원회에 의뢰한 제품들로 섬유 제품의 하자에 대한 원인 및 객관적 책임 소재를 규명하기 위해 소비자로부터 동의를 받을 경우다.백화점별 의뢰 건수를 살펴보면 `롯데`가 1568건(34.4%)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뉴코아` 984건(21.6%), `현대` 788건(17.3%), `신세계` 537건(11.8%), `갤러리아` 274건(6.0%) 순이었다.이 중 품질 하자율이 높은 곳은 `뉴코아` 54.5%(536건), `롯데` 51.7%(811건), `현대` 50.4%(397건), `신세계` 48.6%(261건), `갤러리아백화점` 47.1%(12.9%) 순으로 나타났다. 심의 의뢰 품목은 `의류`가 2705건(59.4%)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신발` 1101건(24.2%), `가방` 607건(13.3%), `침구` 62건(1.4%) 등의 순으로 많았다.소비자원은 백화점 측에 판매 제품 및 사후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고려할 때 보다 자발적이고 소비자 지향적인 업무 처리 방식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전달했다.홍종관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