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일 일본의 고노담화 검증에 대해 "고노담화를 훼손하려는 시도"라면서 "국가 간의 신뢰를 저버리는 일"이라고 비판했다.박 대통령은 이날 중국 CCTV 홈페이지에 공개된 인터뷰 영상을 통해 일본문제와 관련, "일본군 위안부문제, 이것은 국제사회도 한 목소리로 지적하고 있는 인류보편의 인권문제이기도 하고, 또 지나간 과거의 일이 아니라 피해자 그분들의 생생한 증언이 이어지고 있는 오늘의 문제이기도 하다"며 이같이 밝혔다.박 대통령은 "지난 6월 8일에도 또 한 분의 피해자 할머니가 돌아가셔서 54분밖에 남지 않았다. 정말 시간이 없다 "면서 "이런 상황인데도 최근 일본이 위안부문제의 강제성, 일본정부의 관여를 인정하는 고노담화를 계승한다고 하면서도 또 작성경위를 검증한다고 하면서 사실은 고노담화를 훼손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이어 "이것은 정말 피해자분들에게는 마음에 큰 상처를 주는 일이고 또 국가 간의 신뢰를 저버리는 일"이라며 "국제사회의 준엄한 그런 어떤 목소리를 무시하는 행위"라고 비난했다.박 대통령은 "사실 일본은 동북아의 번영과 평화를 위해서 함께 협력을 해나가야 될 중요한 나라"라면서도 "일부 일본의 정치지도자들의 잘못된 역사관, 그리고 퇴행적인 언행으로 인해 한·일 관계가 앞으로 나가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또 "역사의 수레바퀴를 되돌릴 수는 도저히 없는 것이기 때문에 이제라도 일본의 지도자들이 올바른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주변국들과 신뢰를 바탕으로 해서 협력관계를 구축해나가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촉구했다.박 대통령은 한·중 관계에 대해서는 "두 나라가 작년에 새 정부가 거의 같이 출범했다. 그 후에 아주 여러 분야에서 큰 발전을 이뤄왔다"며 "작년 방중이 양국 관계 발전에 좋은 계기가 됐듯이 이번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도 더욱 내실 있는 결실을 많이 거둬 두 나라 관계의 신뢰와 우호관계가 더욱 깊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아울러 "시 주석께서 국가비전으로 `중국의 꿈(中國夢)`을 제시하셨는데 구체적인 목표를 보면 제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인 희망의 새 시대, 국민행복시대, 다시 말하면 한국의 꿈인데 그것과 공통되는 점이 많다"고 언급했다.이어 "중국의 강이 흘러 서해바다로 오고 한국의 강이 서해바다로 흘러서 하나가 되듯이 중국의 꿈과 한국의 꿈이 한 데 어우러져서 동북아의 꿈으로 더 크게 발전됐으면 하는 기대를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박 대통령은 한류와 관련해서는 양국에서 인기를 끈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를 들면서 "한국의 역사서인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또 "케이팝(K-Pop)이라고 불리고 있는 한국 대중음악도 `흥`과 `한`이 공존하는 독특한 한국적 정서에다 역동적인 노래, 군무, 이것이 같이 어우러지고 접목된 것"이라며 "문화를 통한 공감과 같이 세계인을 연결하는 훌륭한 언어가 없다"고 말했다.박 대통령은 첫 여성 대통령이 된 데 대해서도 "시대적 변화의 결과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더 큰 변화를 이끌어내달라는 요구이기도 하기 때문에 사실 큰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면서 "그래서 저는 국가개조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개혁을 강력하게 추진해서 우리나라가 한 번 더 도약하겠다는 토대를 꼭 만들겠다는 생각"이라고 강조했다.이날 인터뷰는 오는 3일 이뤄지는 시 주석의 국빈방한 및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지난달 30일 청와대에서 이뤄졌다.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