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예사롭지 않다.주부들이 시장을 가면 우선 싼 것부터 찾는다. 그런데도 어느 물건하나 마음 놓고 선듯 구매하지 못한다. 특히 최근 많이 출하되는 제철 과일도 싼 것이 거의 없다는 불만이다. 월 수입은 오르지 않았는데 물가는 계속 오르니 지갑 열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5만원 한 장을 들고 나가면 몇가지 못사고 장바구니를 닫아야 한다. 통계청이 발표한 6월 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1.7%나 올랐다. 이는 2012년 10월(2.1%) 이후 가장 높다. 물가 상승은 돼지고기(20.6%), 쇠고기(8.1%), 우유(11.5%), 가방(11.3%) 등이 상승을 주도했다. 이외 도시가스(6.5%), 전기료(2.7%), 지역난방비(5.0%)가 일제히 올라 전기·수도·가스는 작년 동월 대비 4.2%의 상승률을 보였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2.1%, 전달보다는 0.1% 각각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생활 물가지수는 작년 6월과 비교해 1.4% 올랐다. 다행스런 것은 신선식품지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7.7% 떨어졌고, 전달보다는 4.2% 하락했다. 신선식품이 하락했는데도 장바구니 물가가 떨어졌다고 생각되지 않는 것은 내린 상품도 있지만 오른 상품이 많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 마트나 재래시장에서 다양한 상품을 한꺼번에 구입할 경우 내린 것은 실감이 나지 않는데 오른 것은 즉각 실감이 나기 때문이다. 지난해 보다 신선과일의 경우 6.4% 하락했으나 신선어개는 0.3% 올랐다. 품목별로 보아 모든 상품이 작년 같은 달보다는 1.7%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농산물 중에는 양파(-43.4%)와 배추(-36.5%), 고춧가루(-21.6%)가 내렸다. 서민 생활과 직접 연관이 있는 외래 진료비(2.0%), 하수도료(12.4%), 공동주택관리비(3.0%), 미용료(5.1%) 등이 올랐다. 전세(3.0%)와 월세(1.0%)도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전반적으로 올해 들어 물가 상승폭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 모습이다. 올 하반기부터 경북지역 버스 요금이 인상되고 대구는 도시가스 소비자요금이 오른다.대구시는 도시가스 소비자 요금을 지난해보다 평균 0.55% 인상한 0.1235원/MJ(사용열량)으로 조정, 다음 달 1일부터 시행한다. 이에 따라 가정에서 취사용은 연간 710원, 난방용은 연간 2천950원 정도 추가 부담을 하게 된다. 이래저래 서민들만 고통을 겪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