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6기 시도지사들이 지방자치단체 공용 홈쇼핑채널을 승인해달라는 청원서를 정부당국에 제출했으며 이의 승인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청원서에는 지난 1일 취임한 시도지사 13명이 의기투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역의 수장들이 취임과 동시에 지자체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새로운 홈쇼핑의 승인을 요구하고 나선 것은 판로확보로 어려움에 처한 농어민과 중소규모의 업체들을 살리겠다는 취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현재 홈쇼핑채널은 주로 대기업 계열사들이 독점 운영하고 있다. 국내 굴지의 CJ, GS, 현대, 롯데 등 6개 채널이 과점형태를 띠고 운영되고 있다. 지자체들은 지역 농가가 이들 홈쇼핑 입점 때 수수료의 일부를 홈쇼핑업체에 지원하고 있다. 이는 판로개척과 농가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라고 한다. 그럼에도 홈쇼핑을 활용하는 농어민이나 중소기업은 극히 극소수에 불과한 것이 지금의 실정이다. 홈쇼핑의 문턱이 높고 좁아 웬만한 줄이 없는 영농법인은 근접하기가 힘들다는 것이 관계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홈쇼핑과 판매계약을 맺었다 해도 높은 수수료 등으로 수익창출에 애로를 겪고 있다고 한다. 최근 경찰이 적발해낸 모 홈쇼핑사의 비리 행태는 갑(甲)질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시도시사들이 홈쇼핑 채널 확보에 나선 것은 이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라고 하겠다. 지역에서 생산된 농축산물을 손쉽게 대량으로 판매할 수 있는 통로가 바로 홈쇼핑이란 판단때문이라고 하겠다. 채널승인이 나면 지역 농수산물 판매가 지금보다 훨씬 수월해질 것은 분명한 ㅜ사실이다.관건은 주무부서인 미래부가 신규 채널을 내주느냐는데 있다. 미래부는 채널 증설에 소극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기존 홈쇼핑 채널도 많은데다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는 이유를 들고 있다고 한다. 문제는 홈쇼핑 채널이 많아도 이를 이용할 수 있는 농어민이나 소상공인이 극소수라는데 있다. FTA확대와 농촌인구의 고령화 등으로 농어촌의 경쟁력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채널 증설은 위기에 처한 농촌경제를 살리고 지역균형발전에 기여한다는 거시적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기존 홈쇼핑 업체들도 농어민, 소상공인 편성비중을 높여 상생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당국은 전국의 시도지사들이 취임 일성으로 왜 지자체 공용 홈쇼핑 채널 신설을 촉구하고 나섰는지 그 진정성을 알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