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건설 현장은 부실공사 방지를 위해 감리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오히려 감리제도가 유명무실 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어 건축 허가 관청의 강력한 감리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감리제도보다 허가 관청에서 직접 현장을 관리해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 해야 된다는 목소리가 높다.현재 모든 건설 현장은 허가관청에서 건축 허가후 준공까지 모든 공정을 감리에게 위임후 별다른 문제점이 없을시 준공 허가로 이어진다.문제는 감리들이 관청의 지시도 따르지 않고 있다.건설 현장 인근 주민들이 관청으로 민원을 신고 하면 허가 관청에서는 전화로 민원 해결을 위해 현장 감리.소장 등에게 시정할 것을 지시하나 이들 감리밎 현장 소장들은 관청의 지시도 무시한체 작업을 진행 하는가 하면 현장 인근 주민들은 소음.비산먼지.도로 무단점유 등으로 생활에 큰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 이다.주민들의 이러한 생활의 피해를 보고 있으나 허가 관청에서는 시민들의 민원이 들어오면 책상에서 현장에 전화로만 시정을 요구하는등 사실상 건설 허가만 해주고 나면 뒷짐만 지고 있는 실정이다.이러다 보니 시민들만 공사 완료까지 소음.비산먼지.도로 무단점유 등으로 생활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문제점은 또있다.설계사.감리.허가관청.이들은 학연.지연.지인 등으로 서로가 평소 알고 지내는 사이.또는 자주 관청으로 허가신청 등으로 인해 이미 서로가 알고 지내는 사이다 보니 보다 강력한 관리밎 지도가 사실상 어렵다는 지적이다.말과 구호 등으로만 시민들에게 고급행정을 펼칠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시민들을 위한 시민들이 편안한 행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