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의 영일만신항 항운노동조합과 5개 피해지역 지역발전협의회는 7일 오전 포항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항만매립 피해주민에 대한 보상 약속이행을 촉구한다”고 밝혔다.이들은 기자회견 뒤 시청 앞 광장에서 약속이행 촉구를 위해 집회도 개최했다.이들은 “영일만항 건설로 피해를 입은 지역 주민들은 시의 발전과 더 나아가 국가 경제발전을 위해 조상 대대로 이어오던 생업과 터전을 모두 내어 주었지만 시의 피해보상대책은 그 범위와 대상이 한정적으로 주민 대부분의 생계대책이라 하기엔 미흡했다”고 강조했다. 이에 “피해지역 주민과 시는 지난 2005년4월 피해지역주민의 항구적 생계대책을 위해 항만하역 근로자공급 사업에 합의하고 영일만신항 항운노동조합을 설립했다”며 “그러나 시는 약속을 저버리고 합법적인 노동조합 설립을 불허가해 항구적이고 자구적인 생계대책을 원천봉쇄하고 있다”고 역설했다.이들은 또 이날 기자회견과 집회를 통해 “시는 항만매립 보상으로 약속한 일자리창출과 생계대책 지원에 대한 약속을 지켜 영일만신항 하역작업장을 지역민들에게 돌려주고 경북항운노조를 본연의 일터로 돌려보내라”고 주장했다.“특정업체와 특정노동조합을 배불리는 영일만항의 시비지원 100억원의 사용처를 밝히고 계속되는 혈세 낭비를 즉시 중단하라”며 “배고픈 주민들의 혈세로 남의 배 배불리는 내 고향 앞바다, 내 삶의 터전 영일만항을 옛날 그 모습으로 원상 복구하라”고 촉구했다.이들은 또 “경북항운노조와 시와의 유착관계를 면밀히 밝히고 포항시민과 피해지역 주민에 사죄하라”고 강조했다.“앞으로도 시가 약속을 불이행 하는 현재와 같은 입장을 고수한다면 행정으로부터 소외받고 멸시 당하는 지역피해 주민들은 진행 중인 배후단지 조성을 위한 이주 및 보상건과 남방파제 확장을 위한 보상 협의건, 철도와 여타 도로공사를 위한 보상협의에 절대 동의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자신들은 포항시의 시민이고 더 나가 경북도민이며 대한민국의 국민으로 자유롭고 정의로운 대한민국의 시민으로 평등한 직업선택을 함에 그 어떤 권력에도 제한받을 수 없다”며 “창조경제와 물류포항을 꿈꾸는 시는 주민들의 요구에 응당한 책임을 다해 변화와 도약의 의지를 표명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