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갑 / 교육전문가2기 민선 교육감 시대가 열렸다. 지난 6월 4일 시행된 교육감 선거에서 당선된 17명의 시·도교육감이 지난1일부터 4년 임기를 시작했다. 2기 민선 교육감 시대는 우리 교육에 많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특히 17개 시·도 중 진보성향의 교육감 13명이기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진보성향 교육감들은 17개 시·도 교육예산 52조8000억원의 83.5%인 44조1000억원과 전국의 유·초·중·고교생 713만7000명 중 595만9000명의 교육을 책임진다. 이처럼 지방교육을 대부분을 진보성향 교육감들에게 맡긴 것은 국민들의 뜻이다. 따라서 진보성향 교육감들은 중앙정부와 조화와 균형을 이뤄 교육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할 책무가 있다.하지만 국민들은 1기 민선 교육감 시절에 진보성향 교육감들과 중앙정부가 교육 현안을 두고 끊임없이 갈등과 대립하며 혼란을 안겨준 것을 기억하고 있다. 이제, 2기 민선 교육감 시대가 본격적으로 닻을 올렸다.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지만, 이런 것 모두가 교육감들에게 기대가 크기때문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교육감직은 축하받는 자리가 아니다. 이 나라 교육을 위해 고통과 희생을 감내해야 하는 자리다. 따라서 이번에 취임한 교육감들에게 위로와 함께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첫째, 헌법과 법률이 정한 교육감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기 바란다. 헌법 제31조에는 모든 국민이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와 함께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 보장에 관해 정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감들은 교육의 수월성과 평등성을 조화와 균형 있게 추진하고 빈부에 따른 교육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힘써야 한다. 특히 교육을 이념과 정치권력으로부터 지켜내는 데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또한 교육자치법 정신에 따라 교육감들은 지역적인 특색을 살려 지방교육을 꽃 피워야 한다.둘째, 이념이나 진영논리를 벗어나야 한다. 교육이 이념이나 진영논리에 갇히면 안 된다. 교육은 특성상 그럴 성격도 아니다. 교육감이 특정한 진보, 보수와 같은 이념이나 진영논리에 갇히면 학생 교육에도 악영향을 미친다.교육감들은 특히 이 점을 신경을 써야 한다. 그래야 반쪽 교육감이 아닌 온전한 교육감, 모두를 위한 교육감이 될 수 있고, 지역사회와 국민에게 신뢰를 받을 수 있다. 전교조 법외노조에 따른 후속 조치 문제, 자사고 문제 등 갈등이 예상되는 현안이 적지 않은 만큼 교육감들이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셋째, 더할 것, 뺄 것을 명확히 해주길 바란다.교육의 일차적인 책임자는 교사와 학교다. 따라서 활기차고 창의적이며 자율적인 교육을 제약하고 있는 교사와 학교에 대한 각종 규제를 걷어내야 한다. 교사와 학교에 자율성을 대폭 부여하면서 지원에 나서야 한다. 교육감의 권한도 학교에 대폭 이양해야 한다. 학교에는 불필요한 공문서 등 뺄 것만 빼줘도 교육이 잘 될 수 있다. 또한 교육기관에 존재하는 부정과 부패, 비효율을 걷어내고 교사들이 자긍심을 지니고 교직에 임할 수 있도록 활력을 더해줘야 한다.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와 소통과 협력을 통해 교육재정 확보를 하는 것도 교육감이 꼭 해야 할 일이다. 또 지역사회와 협력을 교육에 대한 지원을 이끌어내고, 사회를 교실로 만들어야 한다.교육감들이 더할 것, 뺄 것 몇 가지만 확실히 해도 교사와 학교가 바뀌고, 교육이 바뀔 수 있다. 국민들은 교육감들에게 많은 것을 바라지 않는다. 우리 아이 교육에 조금이라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면 만족한다. 조용한 변화를 바라지 시끄러운 전시성 사업을 원하지 않는다.최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을 비롯해 몇몇 교육감들이 조용하면서도 진영논리를 벗어나 포용을 위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 건 다행스럽고 긍정적인 신호이다. 이런 태도를 계속 유지해 나가야 한다.특히 교육정책은 장기적인 안목이 중요하다. 임기 4년 동안 획기적인 변화를 기대하거나 많은 것을 바꾸려고 욕심내면 교육을 망칠 수 있다. 교육감 임기는 4년이지만, 교육은 계속된다. 4년 동안 미래 교육을 위해 초석을 놓는 교육감, 모두를 위한 교육감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