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화 국회의장은 16일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쟁점법안 직권상정 압박에 대해 “과연 지금 경제상황을 그렇게 볼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저는 동의할 수 없다”고 반대했다. 정 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의장 집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회법 85조에는 심사기일 지정과 관련한 규정이 3가지가 있고, 그 중에서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의 경우에 가능하다고 돼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그는 “의장이 할 수 있는 것이 있고, 할 수 없는 것이 있는데 의장은 어디까지나 법에 따라 할 수밖에 없다”며 “제가 자문을 구한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도 그렇다”고 강조했다.더 나아가 “어제 청와대에 대해서도 ‘법적인 근거를 찾아봐달라’고 오히려 제가 부탁했다”며 “제가 안하는 게 아니라 법적으로 못하는 것이기에 못하는 것이라는 점을 알아달라. 그 점이 호도되지 않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했다.정 의장은 “선거구 획정은 올해 연말을 넘기게 되면 심각한 문제가 생긴다는 것을 모두가 잘 안다”며 “국민 기본권 중 가장 중요한 하나가 참정권인데 내년 선거가 4개월 남은 상황에서 선거구가 정해지지 않은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우려했다. 그는 “12월31일이 지나면 입법비상사태라고 지칭할 수 있다”며 “입법비상사태가 발생이 되거나 그 직전에는 의장이 결단할 수밖에 없다”고 선거구획정 직권상정 방침을 시사했다.‘쟁점 법안을 직권상정 안 하는 것은 국회의원 밥그릇 챙기기’라는 일부 지적에 대해서는 “국회의원 밥그릇 챙긴다는 말은 국민들로 하여금 굉장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문제”라며 “현재 19대 의원이 20대 의원으로 당선되기 위해 선거구 획정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라면 그 말이 맞다고 할 수도 있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고 반박했다.